농작물 병해충 방제통보(제2호)
1. 벼 농 사 가. 대상 병해충 : 도열병(조생종은 이삭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잎집무늬 마름병,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나. 발생전망 및 대책 □ 도 열 병 ○ 발생전망 : 질소비료 줄여주기 영향으로 크게발생할 우려는 적으나, 과비된 포장이나 도열병에 약한 품종에서 잎도열병 및 조생종 이삭도열병 발 생이 우려됨. ○ 방제대책 : 예방위주로 방제하되 도열병반이 1~2개 보일때 중점방제. □ 줄무늬잎마름병 ○ 줄무늬잎마름병은 6월초 비래한 본논에서 애멸구 밀도가 늘어나 볏대의 즙액을 빨아먹고 바이러스를 전염시켜 새잎이 말리고 구부러지면서 황백색으로 변하는 증상으로 피해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답 방제소홀한 논은 적용농약으로 방제 □ 잎집무늬마름병 ○ 발생전망 : 일찍 모낸논, 과번무로 통풍이 불량한 논에서 고온 다습한 조건이 지속될 경우 병무늬가 상위 잎으로 빠르게 진전 될 것으로 예상됨. ○ 방제대책 : 한포기당 발병주율이 20%이상 될 때 중점방제 □ 벼멸구 · 흰등멸구 ○ 발생전망 : 중국남부에서 장마전선을 타고 날아오는 비래해충으로 현재 발생밀도는 높지않으나 , 7월말이후 비래량에 따라, 앞으로 고온이 지속될 경우 급속도로 번질 가능성이 많아 방제 미흡시 큰 피해가 우려됨. ○ 방제대책 : 8월상순경 증식원줄이기 필수방제를 요함. □ 혹명 나방 ○ 발생전망 : 지난 7월26일 예찰결과 본답 포장에서 1~2개 발생되어 적기방제시기를 놓칠 경우 큰피해가 우려되니 벼멸구와 동시방제가 필요함.. ○ 방제대책 : 한포장에서 피해잎이 1~2개 보일때 중점방제 (벼멸구와 동시방제) ※ 고농도 소량살포보다는 적정배수로 300평당 7~8말정도를 흠뻑 뿌리는것이 방제효과가 높음 다. 예찰 및 방제통보면적 : 전 식부면적(6,410ha) 라. 방제 요령
방제 적기 | 농 약 명 | 물20ℓ당 약량 | 10a당 뿌리는량 | 유 의 사 항 | 8.8 ~ 8. 13 | 혹명나방,멸구약 + 잎집무늬마름병약 + 도열병약 | 사용설명서 참 조 | ㅇ 유 제, 수화제 140~160ℓ ㅇ 입제 4kg | 사용설명서를 읽어보고 농약 혼용이 가능한지 확인하여 농약을 안전하게 사용합시다. | ※ 입제농약은 유제·수화제 살포시기보다 3~5일 앞당겨 줌 2. 소득작물 병해충 가. 고추 탄저병·역병·세균성점무늬병 ○ 발생전망 : 고온 다습한 발병에 좋은 조건이 되면 탄저병, 역병, 반점세 균병이 계속 발생 방제소홀시 많은 피해가 예상됨. ○ 방제요령 : 예방위주로 7~10일 간격으로 적용살균제로 방제 ○ 적용약제 - 탄 저 병 : 카브리오,카브리오에이,오티바,스털스,실바코,호리쿠어,스포르곤 - 역 병 : 오티바, 미리카트, 포룸만, 리도밀골드 등 - 세균성점무늬병 : 포룸씨, 가스란, 코사이드, 델란케이 등 나. 담배나방 · 총채벌레 ○ 발생전망 : 장마가 끝난후 고온이 지속될 경우 크게 증가할것으로 발생 초기 적용약제 살포로 발생밀도를 줄여야 피해를 줄일 수 있음. ○ 적용약제 - 담배나방 : 송골매, 콩코드, 란네이트, 한방,암메이트등 - 총채벌레 : 섬광, 렘페이지, 섹큐어, 만장일치, 천하무적, 에이팜 등
다. 참깨 역병 · 시들음병 ○ 적용약제 - 역 병 : 리도밀, 리도참, 굳케어, 알리에테 등 - 잎마름병 : 벤레이트, 안트라콜 등. 3. 농약안전사용 고농도 소량살포, 부적합한 농약의 선택, 불합리한 혼용 등으로 약해가 발생하니 설명서 내용숙지후 사용하시고 특히 농약혼용시 제초제(병뚜껑색:노랑) 인지 확인하여 1년농사를 버리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