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2010~2011년 귀농·귀촌한 인구 정착실태 분석해보니… 글의 상세내용
제목 2010~2011년 귀농·귀촌한 인구 정착실태 분석해보니…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6-10 조회 476
첨부  
출처:농민신문

2010~2011년 귀농·귀촌한 인구 정착실태 분석해보니…

준비기간 ‘1년6개월’…자금 ‘1억2천만원’


중단·재이주가구는 준비기간·자금 평균치 밑돌아

최초 귀농시 새로 농지 구입·임차 비율 70% 달해


포토뉴스

 귀농·귀촌인들은
농촌에 정착하기 전 준비기간으로 평균 1년6개월 이상을 쓰고, 1억2363만원가량의 자금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농정연구센터가 전국의 귀농·귀촌 701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담아 농림축산식품부에 제출한 ‘귀농·귀촌인구의 정착실태와 관련정책
발전방안’ 용역보고서에서 밝힌 내용이다. 이는 절대적이진 않지만, 귀농·귀촌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평균 ‘18.4개월’ 준비해 ‘1억2000만원’ 들고 농촌행(行)=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1년 사이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간 귀농·귀촌가구는 지역이나 농지탐색 같은 실질적인 준비에 평균 1년 반 정도(18.4개월)를
썼다. 귀농·귀촌을 결심한 뒤 주위의 조언을 구하거나 여러가지 정보를 취합하는 기간은 빠진 것이다. 김혜민 농정연구센터 연구원은 “정보수집
기간을 모두 합한 전체 귀농·귀촌 준비기간은 2년을 훌쩍 넘을 것”이라면서 “예전과 달리 일찍부터 계획을 세우고 상당기간 준비하는 게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잡았다”고 설명했다.



 이주 시 준비자금은 평균 1억2363만원으로 조사됐다. 전체적으로는 1000만~1억원 사이의
자금을 준비한다는 비율이 가장 많았고, 1000만원 이하의 자금만 가지고 이주하는 경우(129가구)도 전체의 18.4%나 차지했다. 반대로
5억원 이상의 고액을 준비한 가구도 34가구나 됐다.



 



 ◆준비기간·준비자금, 귀농 ‘성패’에도 영향=조사 결과
2010~2011년 사이 귀농·귀촌해 현재까지 초기 상태를 유지하는 가구와 2차 귀농, 도시 역(逆)귀농 등을 하는 가구 간에는 준비기간과 자금
등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준비기간과 준비자금이 귀농·귀촌 성공과 실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셈이다.



 귀농·귀촌을 유지하고
있다는 가구의 평균 준비자금은 1억2721만원으로 평균보다 많은 반면, 귀농·귀촌 중단 가구는 9382만원으로 평균을 한참 밑돌았다.



 준비기간의 영향도 확인됐다. 귀농·귀촌 유지자는 실질적으로 18.8개월의 준비기간을 거쳤지만, 두번 이상 지역을 옮긴 2차
귀농·귀촌자는 15.1개월, 도시 역귀농자는 12.4개월로 평균보다 짧은 기간의 준비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정연구센터는
귀농·귀촌 유지 여부에 준비기간과 준비자금이 영향을 미친다는 데 힘을 실어주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초기에 확실히
뿌리 못 내리면 재이주 확률 높아져=최초 귀농 시 농사 형태는 새로 농지를 구입하거나 임차해 농사를 시작했다는 경우가 69.3%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으로 부모에게 승계받았거나 부모와 함께 경영했다는 비율이 24.6%, 내 농지 없이 다른 농가나 농업법인에 실습자 겸 보조자로
취업했다는 비율이 3.8%로 뒤를 이었다.



 거주 형태는 ‘신축이나 구입’이 가장 많은 비율(42.4%)을 차지했고, 해당 지역에
이미 살고 있던 ‘가족이나 지인과 동거했거나(21.8%)’ ‘전세·월세 등 임차했다(21.1%)’는 응답이 비슷한 비중으로 많았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마련한 ‘귀농인의 집’ 등을 활용해 임시로 거주했다는 비중은 13.7%였다.



 초기 거주 형태에 따라 귀농·귀촌 유지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는 점도 특이하다. 귀농·귀촌 유지 집단의 경우 처음에 주택을 신축 또는 구입했다는 비율이 44.7%로 가장 높았으나, 2차
귀농 집단과 역귀농 집단의 경우 임차 비율이 각각 37.1%와 38.5%로 가장 많았다.



 김 연구원은 “농촌지역을 기반으로
(주택 등) 하드웨어를 갖춰 놓는 경우에 귀농·귀촌 유지 비율이 높다”면서 “이는 농촌에 확실하게 뿌리내리지 않은 경우 좀 더 도시나 다른
농촌지역으로 재이주를 꾀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