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극심한 가뭄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임에 따라 일선 지자체들의 가뭄극복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강원도는 4일부터 ‘가뭄극복을 위한 영농 종합대책’ 시행에 들어갔다. 도는 5월 가뭄에 이어 6월 중순까지 비 예보가 없어 가뭄해갈 때까지 농정국장을 반장으로 하는 ‘가뭄대책상황실’ 4개반을 편성, 운영하고 가뭄이 심한 지역은 지역담당관제를 지정 운영하는 등 단계별로 가뭄대책에 돌입했다.
도는 가뭄 조기 극복을 위해 도 예비비 20억원을 긴급 지원키로 결정하고 이와는 별도로 농림축산식품부에 55억원의 국비 특별지원을, 국가안전처에 30억원의 특별교부세를 건의했다.
충북도 역시 5일 민·관·군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충북도는 읍·면이 보유한 3800대의 양수기를 총가동해 밭작물 생육에 지장이 없도록 농업용수를 공급하기로 했다. 또 식수가 부족한 지역에는 급수차와 물탱크 등 381대의 장비를 가동해 비상급수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경북도는 가뭄 피해 예방을 위해 3일 용수개발비 20억원을 시·군에 긴급 지원하고 시·군부단체장 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가뭄이 심한 지역의 들샘, 하천 굴착 등 간이용수원 개발과 기존 관수장비 보강을 위해 용수개발비를 지원하고, 각 시·군은 지역 실정에 맞는 대책을 수립·추진하도록 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하수나 계곡물을 일부 취수원으로 사용하는 강원·경북·경기·인천 등의 도서·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비상급수체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비상급수체계가 가동 중인 지역은 인천 옹진군과 경기 가평군 등 9개 시·군·구 38개 마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