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속에서도 한우값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심지어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 수요가 줄면서 가격이 떨어질 것이란 당초 예상을 비웃기라도 하듯 산지 한우값은 요지부동이다.
농협에 따르면 한우 큰 수소(600㎏ 기준)는 10월14일 1마리당 평균 632만1000원에 거래됐다. 이는 2013~2015년 3개년 10월 평균값 565만1000원보다 12%(67만원)나 높은 것이다. 사육마릿수가 줄어든 게 주된 원인이다. 9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264만마리로, 2년 전보다 18만마리나 적다. 정부가 4년 전 한우값 안정을 위해 시행한 암소 감축사업 여파다. 하지만 지속되는 높은 한우값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가장 먼저 대중과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우고기가 음식점에서 ‘내 돈으로는 절대 사 먹을 수 없는’ 영역의 음식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한우고기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는 점점 낮아지는 추세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최근 내놓은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 연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4년 2년 연속 ‘소비자 육류 선호도’ 1위를 꿋꿋하게 지켰던 한우고기가 지난해에는 돼지고기(43.5%)에 이어 2위(35.4%)로 밀려났다.
수입쇠고기에도 곁을 내주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1~6월 수입된 쇠고기는 총 16만3411t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가량 늘어난 것으로, 시장개방 이후 가장 많은 양이 수입됐다. 그 결과 2013년만 해도 50.1%에 달했던 한우 자급률은 올 6월 39.9%로 급락했다. 결국 한우값 강세로 인해 소비자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축종이나 수입쇠고기로 이동했음을 뜻한다. ‘가격의 역습’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는 얘기다.
더욱 큰 문제는 한우값 강세가 소비기반을 축소시켜 한우 생산기반이 또다시 회복불능 지경으로 내몰리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한우산업이 안정적으로 발전하려면 명품화와 함께 직거래 확대 등으로 유통비용을 줄여 가격을 낮추는 동시에, 1~3등급 수요를 늘리는 등 대중 소비기반을 확대하는 데 정부와 생산자가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억 기자 eok1128@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