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농민신문

농경연 ‘농업전망 2019’ 올 농가소득 ‘4006만원’ 전망 14년 만에 첫 4000만원대 진입 농업소득, 농협 농약값 인하 등 긍정적 영향…지난해 ‘반등’ 농업생산액 50조원 넘어설 듯 올해 농가소득이 4000만원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3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에서 ‘농업전망 2019’ 발표대회를 열고 “2019년 가구당 농가소득은 2018년보다 1.1% 증가한 4006만3000원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가소득이 처음으로 3000만원대를 돌파한 2005년 이후 앞자리 숫자(3)는 지금까지 한번도 바뀌지 않았다. 농경연은 영농규모 확대 등으로 2028년에는 농가소득이 4837만3000원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농가소득 4000만원대 진입은 농외소득이 이끌 것으로 분석됐다. 농경연은 농외소득이 2018년 1684만원에서 2019년 1758만2000원으로 4.4% 늘 것으로 추정했다.
농업소득은 2017년 1004만7000원에서 2018년에는 1072만5000원으로 다시 반등한 것으로 추정됐다. 농산물을 팔아 얻는 농업총수입(조수입)이 같은 기간 3058만원에서 3231만원으로 5.7% 늘어난 데 반해 자재값 같은 농업경영비가 2053만3000원에서 2158만5000원으로 5.1% 증가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영농비 절감이 농가 수취값 제고로 이어졌다는 의미다.
이는 농협이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을 위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농약·비료·사료·시설자재 등의 가격 인하 조치와 농산물 제값 받기 같은 노력이 농업소득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농가소득 증가세에 힘입어 도농간 소득격차가 일시적으로 완화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측됐다. 농경연은 도시근로자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은 2017년 63.7%에서 2018년 64.8%로 소폭 개선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2028년에는 그 비율이 62.5%로 하락하는 등 도농간 소득격차가 점차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업생산액은 처음으로 5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농경연은 쌀과 한우 가격상승의 영향으로 2018년 농업생산액이 50조1891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품목별 농업생산액 순위에서는 쌀이 돼지를 제치고 다시 1위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쌀은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다 2016년과 2017년엔 2위로 내려앉았다. 농경연은 2018년 쌀 생산액 추정치는 8조4616억원으로 돼지(7조796억원)를 앞섰다고 분석했다. 농경연 관계자는 “다만 쌀 초과공급 구조가 이어진다면 향후 쌀값 하락이 불가피한 만큼 2023년에는 돼지가 다시 생산액 1위를 탈환할 것”이라며 “2028년에는 쌀 생산액이 한우보다도 낮아져 3위로 물러날 것 같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