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주목! 이 법안]“우박, 자연재난으로 명시해 지원해야”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7-08-07 | 조회 | 334 |
첨부 | |||||
출처:농민신문 우박피해 농민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석면피해 의심자 전원을 찾도록 하는 법안과 야생화 된 동물을 유해야생동물로 분류하는 법안도 각각 발의됐다. 법안의 주요 내용을 간추린다. 손금주 국민의당 의원(전남 나주·화순)은 우박을 자연재난으로 규정하고, 국고보조 대상으로 농작물 피해를 추 가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을 최근 대표발의했다. 지 우박으로 인한 농작물 총피해면적은 최근 5년간 최대치인 8734㏊에 이른다.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특별재난지역 선포 역시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다. 아울러 재난지역에 대한 국고보조 대상으로 농림어업 시설의 복구 비용뿐 아니라 농산물 피해 보전도 추가 하도록 했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부산 연제)은 환경부와 관할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의 개인정보를 확인해 석면피해 의심자를 파악하도록 하는 ‘석면피해구제법 개정안’을 최근 대표발의했다. 하고 있다. 하지만 주소를 옮기거나 개명해 관할 지자체에서 주소나 연락처를 알 수 없는 석면피해자에 대한 추적은 불가능하다. 관계기관에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밖의 기관·단체 등에 필요한 정보 제출 등 협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인정 보를 포함한 것으로, 협조를 요청받은 기관은 정당한 거부 사유가 없으면 요청에 따르도록 규정했다. 해 조사·추적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각지대에 놓인 피해자들을 신속하게 구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이자 자유한국당 의원(비례대표)은 들개처럼 야생화된 동물도 유해야생동물로 분류하는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개정안’을 최근 대표발의했다. 록 하고 있다. 도심이나 등산로를 중심으로 주인에게 버림받은 대형 유기견이 출몰해 사람들에게 위협을 가하 는 등 피해가 잇따르고 있으나 이런 들개는 야생동물로 분류되지 않아 포획·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개정안은 이런 점을 감안, 야생화된 동물도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으면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해를 가하는 등 재산상 피해도 발생하고 있어 선제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