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과 국제 원자재값을 감안할 때 빵값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식품업체들은 제품 포장을 바꾸면서 값을 인상하거나 중량을 줄이는 등의 편법을 사용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용역보고서를 받아 국제 원자재값과 국내 가공식품값 반영 정도에 대한 정밀분석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또 이 용역자료를 바탕으로 재정부 장관이 주재하는 위기관리대책회의도 개최했다. 최근 원화가치 상승과 원재재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국내 가공식품의 값이 계속 올라 가계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농경연의 보고서에 따르면 해마다 20% 이상씩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는 빵은 국내에서 가공된 밀가루와 설탕을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국제 밀값이나 원당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원재료 구입비용이 전체 공장도값에서 차치하는 비중이 절반도 안돼 국제 원자재값 인상을 빌미로 제품값을 인상할 근거가 약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국내 제빵업체들은 지난해 상반기 국제 밀값이 급등했다며 소비자값을 크게 올린 뒤 국제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에도 ‘환율이 올랐다’며 소비자값을 내리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3월부터 올 3월까지 국내 빵값은 평균 7.9% 올랐으나 국제 밀값은 오히려 50% 정도 하락했다. 빵의 경우 공장도값이 2006년에서 2008년까지 평균 20% 정도 올랐는데 이는 같은 기간 밀가루와 설탕 등 원재료비 상승분 15~20%를 웃도는 수치다. 앞으로 국제 밀값 및 환율 상황이 더 안정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업체들이 빵값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는 것이 농경연의 분석이다.
보고서는 또 빵 등 가공식품 제조업체들이 값 인상에 대한 소비자 반발을 의식해 제품 포장을 바꾸면서 값을 올리거나 중량을 줄이는 편법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재정부 관계자는 “값 인하 요인이 있는 업체에 대해 계도하고, 제품에 단위값(예 : 100g당 ○○원) 표시를 하도록 해 편법적인 값 인상을 막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1월부터 재정부와 농림수산식품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가족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격 모니터링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국제 원자재값과 환율 하락분의 국내 제품값 반영 여부를 매월 두차례 모니터링하고 있다.
윤덕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