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가을과 올봄에 파종된 답리작 맥류 면적이 5만2033㏊로 집계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직전연도(2014년 가을~2015년 봄) 맥류 답리작 면적(3만4529㏊)의 150.7%에 달하는 면적이다.
보리와 밀은 논에 심는 답리작 면적이 전체 면적의 80~90%를 차지해 답리작 면적 증가가 전체 면적 증가로 직결된다.
특히 보리는 4만997㏊로, 정부수매제가 유지될 때보다 답리작 면적이 더 많이 늘었다. 보리수매제 마지막해인 2011년 면적은 2만6000㏊이며, 그 이후에도 2013년 2만2000㏊, 2015년 2만7000㏊ 등으로 3만㏊를 넘지 못했다.
밀의 답리작 면적은 1만1036㏊로, 2011년 이후 5년 만에 1만㏊대에 진입했다. 2013년에는 6000㏊, 2015년에는 8000㏊에 불과했다.
답리작 맥류의 면적 증가는 정부의 적극적인 답리작 재배 권장이 직접적인 요인으로 지목된다. 정부는 답리작 재배가 농가소득 증대와 연계된다며 지난해 시연회까지 개최해 재배를 독려했다. 또 파종면적 목표(5만2000㏊)까지 설정해 목표치 넘게 파종되는 성과를 거뒀다.
맥류 답리작 재배 증가는 보리·밀 자급률과 곡물자급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계작물인 보리와 밀은 높은 해외의존도와 낮은 수익성 등으로 농가 재배가 저조해 자급률이 각각 24.8%와 0.7%밖에 되지 않는다. 곡물자급률은 1970년에 80.5%에 달하던 것이 1990년 43.1%, 2000년 29.7%, 2010년 27.6%, 2014년 24%까지 떨어졌다.
문제는 판로다. 국산 보리와 밀의 소비가 한정돼 신규 소비처가 확보되지 않으면 수요보다 공급이 많을 수 있어서다.
그럼에도 아직 뚜렷한 정부대책이 나오지 않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아직 소비를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침을 정하지 않았다”며 “이달 중에 농협·국산밀산업협회 등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해 소비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밀 임의자조금 조성도 올해 안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병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답리작 맥류 재배 확대는 바람직하나, 재배 확대에 발맞춰 정부의 소비 확대 방안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며 “농협 등이 수매할 때 정부지원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소비 확대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직접 수매하는 방안도 검토하라는 주장이 나온다.
남우균 기자 wknam@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