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비작물 ‘호밀’의 생육 후기 모습.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과수원에 녹비작물을 재배하면서 축분 액비를 뿌려주면 녹비작물의 생육이 좋아지고 양분 환원 가능량도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 녹비작물의 뿌리 생육이 좋아져 과수원 토양의 공극률이 증가한다.
녹비작물로는 종자 크기가 큰 호밀과 헤어리베치가 적당한데 10a당 호밀은 15㎏, 헤어리베치는 5㎏ 내외를 각각 파종하면 생산량이 많아진다.
양분 환원 가능량도 질소 186~193㎏, 인산 42~66㎏, 칼리 237~378㎏ 정도로 자연 초생재배에 비해 1《당 2~3배 많아 화학비료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토양 피복력이 80~90%로 높고 건물중량(마른 무게)이 1《당 호밀 9830~1만8010㎏, 헤어리베치 4970~7410㎏ 정도로 많기 때문에 잡초 발생을 억제해준다. 따라서 자연 초생재배가 연 3~4회 풀베기를 하는 것에 비해 녹비작물은 1~2회만 하면 돼 노동력 절감에도 효과적이다.
파종 시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가 적당하며 너무 늦어 기온이 떨어지면 발아가 불량하고 겨울나기에도 불리해진다.
중북부지방은 파종량을 늘려주거나 조금 빨리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가을 가뭄이 심하면 파종 후 약하게 로터리작업을 해준다.
가축분 액비는 시비처방 기준으로 가을에 20~30%, 이른 봄에 70~80%를 각각 뿌려준다.
호밀은 다음해 봄에 과수원 관리에 불편함이 없도록 눕혀 주거나 베어 준다. 헤어리베치는 봄에 꽃이 핀 뒤 종자를 맺고 6월 중순경에 자연적으로 시든 다음 9월에 재발아되기 때문에 다시 파종하지 않아도 된다.
녹비작물 종자는 전년도에 시·군·구(읍·면·동)에 신청하면 다음해 8~10월 상순에 무상으로 공급되고 당해에 필요한 종자는 종묘상에서 구입할 수 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