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유기농업 길라잡이 왜 ‘유기농’ 인가 글의 상세내용
제목 유기농업 길라잡이 왜 ‘유기농’ 인가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04-09 조회 1088
첨부  











 









매년 30%이상 성장… 올바른 인식 부족



세계적으로 유기농업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기조에 발맞춰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 종자부터 병해충 관리에 이르기까지 유기농업 초보자와 기존 농업인에게 필요한 재배기술을 기획연재한다.



미래학자들은 30년 후 인류를 지탱할 유망산업으로 유기농업을 지목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물·식량 부족, 화석에너지 고갈 등의 전 지구적 환경문제 속에서 유기농업은 이 모든 문제를 헤쳐 나갈 수 있는 돌파구로 인식되고 있다.



이 같은 예측을 뒷받침하듯 유기농업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20% 이상씩 급증하고 있으며 국내 유기농업 역시 연간 30% 이상 성장하고 있다.



유기농업은 화학비료·유기합성농약·가축사료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물·미생물 등 물리적·생물적으로 제조된 자재만을 사용해 농작물을 생산, 농업생태계를 유지 보전하는 농업이다.



최적화된 토양과 재배환경에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건강한 생태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과학적인 영농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최고 수준의 농업 형태인 것이다.



그러나 유기농 선진국의 여건과 비교할 때 국내 유기농업의 실천환경은 그리 좋지 못하다.



가장 큰 문제점은 윤작·두과작물·녹비작물을 이용한 작부체계 수립이 어렵다는 것이다. 유기경종과 유기축산의 순환이 쉽지 않은 것도 장애물이다.



또한 생산자나 소비자 모두 유기농업을 단지 무농약·무비료 개념의 농산물 생산기술로 인식하거나 웰빙식품을 생산해 내는 농업이라고만 인식하는 경향도 문제다.



올바른 유기농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농가가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농업생태계 내의 생물학적 종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을 높이며 ▲토양비옥도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토양·물·대기의 건강한 사용으로 농업으로 야기되는 모든 형태의 오염을 최소화하겠다는 등의 목표가 바로 그것이다. ◇도움말=지형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박사 ☎031-290-0545.



김인경 기자 why@nongmin.com







●유기농업 위한 농가 실천사항



-장기적 토양비옥도 유지 및 증진



-양분 및 생물자원의 농경지 내 순환



-질소고정식물을 최대한 이용한 질소 공급



-예방 위주의 생물적 작물 보호



-지역 특성에 맞는 생물종의 다양성 유지



-합성비료·농약·생물조정제·호르몬 사용 금지



※자료:농촌진흥청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