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제역 재발방지를 위해서 축산농가들은 반드시 예방백신 접종과 차단방역에 힘쓰고 정부와 지자체 등은 친환경축산이 확산되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친환경축산 양돈장의 내부 모습.
특히 우리나라가 구제역 발생국으로 전락하자 국가간 무역 협상에서 중국·대만 등 구제역 상시 발생국이 우리에게 축산물 수입을 요구해 올 경우 이를 거부할 명분이 크게 약해지는 문제도 발생했다. 실제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추진중인 중국은 8월 열린 3차 협상에서 신선 축산물을 교역대상에 포함하는 논의를 시작하자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제역 청정국 지위 회복을 위한 축산농가와 당국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대책 추진이 절실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재발 가능성 상존=우리나라는 구제역 전국 확산을 막기 위한 긴급 처방으로 지난해 1월13일부터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막대한 예산과 농가들의 노력으로 백신접종 이후 현재까지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지는 않지만 재발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다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인접국가인 중국이나 대만 등에서 지속적으로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는 데다 구제역 발생국으로의 해외여행객과 외국인 입국자가 늘어 언제든지 구제역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외신에 따르면 25일 중국 농업부는 랴오닝성 다롄시 한 양돈농의 돼지 43마리가 구제역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긴급 방역조치에 들어갔으며, 이에 앞서 10월29일엔 대만 돼지농가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해 비상조치에 돌입했다.
이와 관련해 현장 수의사들은 “백신접종국인 대만에서 구제역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농가 백신접종률이 90%에 그쳐 백신접종 사각지대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며 “농가들이 살처분 보상비가 낮다는 이유로 구제역이 발생해도 신고를 꺼리고 있는 것도 구제역 발병이 끊이지 않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방역 불감증’ 불식 시급=정부는 2014년 5월 열리는 OIE 총회에서 ‘구제역 예방접종 청정국’ 인증 획득을 목표로 적극적인 예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림수산식품부는 가축질병 발생국가 출입국시 신고 및 소독을 의무화하는 등 국경검역을 강화했으며, 농가들이 100% 백신접종에 나서도록 농가별 담당공무원 실명제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축산농가들의 ‘방역 불감증’은 아직도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최근 ○○도는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AI) 등에 대한 방역을 소홀히 한 농가를 적발해 행정조치를 내렸다. 집중점검이 이뤄진 일부 농가에서는 구제역 항체 형성률이 지속적으로 낮게 나와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축산관계자는 “일부 농가들은 가축의 스트레스가 심해져 사료효율이 떨어진다거나 육질 저하가 우려된다며 백신접종을 기피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구제역 재발 가능성이 도사리고 있는 만큼 ‘내 농장은 괜찮겠지’ 하는 안이한 방역의식은 하루빨리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인증을 준비하는 기간 동안 구제역이 단 한건이라도 발생하면 청정국 지위 회복 시점이 늦어지고 축산농가의 경제적인 피해도 엄청난 만큼 철저한 백신접종과 차단방역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친환경축산 기반 마련 서둘러야=축산 전문가들은 구제역 등 악성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면 수출위축과 소비부진 외에도 축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축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싹트기 시작하면 축산업의 존립 기반까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퍼진 지난해 2월 언론들은 가축 살처분 보도를 쏟아냈고, 동물보호단체·환경단체들이 축산 무용론까지 제기하자 소비자들 사이엔 축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급격히 확산됐다.
이 때문에 30여개 축산단체로 구성된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자체기금을 마련해 일간지 광고와 함께 자극적인 보도를 자제해 달라는 내용의 대언론 호소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축산업계 관계자는 “당시 축산농민들은 언론의 자극적인 보도로 인해 사회 저변으로 확산되는 반축산 정서에 큰 위협을 느꼈다”며 “축산업이 국민 건강증진에 앞장서는 식량산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환경 친화적인 축산환경 조성과 위생 및 안전성을 높인 축산물 생산에 축산업계 모두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