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신선한 바람과 뜨거운 볕으로 ‘가을 채소 말리기 글의 상세내용
제목 신선한 바람과 뜨거운 볕으로 ‘가을 채소 말리기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2-10-31 조회 2233
첨부  

신선한 바람과 뜨거운 볕으로 ‘가을 채소 말리기’


가을을 머금은 채소…영양은 듬뿍, 식감은 쫄깃



포토뉴스

청명한 가을 하늘, 앞마당 들마루나 뒤꼍 장독대 위 채반에 가을바람과 가을볕을 맞으며 가지런히 놓여있 는 갖가지 채소들…. 가을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정겨운 시골집 정경이다. 가을이면 겨울 반찬 준비를 위해 채 소를 말렸던 우리 조상은 참 지혜로웠다.



 김영빈 요리연구가는 “우리나라처럼 나물 조리법이 발달한 나라가 없다”며 “각국의 요리를 배워 보아도 채소를 말려서 조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싱싱한 채소가 제철인 양 넘쳐나는 요즘, 채소 말리기가 웬 말이냐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말린 채소에는 생채소와는 다른 맛이 있고 그 이상의 영양이 들어 있다는 게 김씨의 설명이다. 한방에서는 추운 겨울 냉한 성질의 푸성귀를 자꾸 먹으면 결국 몸이 냉기를 가득 머금게 되어 병이 된다고도 하는데 말린 채소나 과일은 그 성질이 따뜻해지므로 그런 염려를 할 필요도 없다는 것. 생채소가 아삭거리는 식감과 신선함이 특징이라면 말린 채소는 쫄깃쫄깃한 식감과 함께 요리의 주재료는 물론 부재료로 활용해도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선선한 바람과 뜨거운 볕이 채소 말리기에 좋은 때다. 김씨로부터 이맘 때 말리면 좋을 채소의 종류와 활용법을 알아봤다.



 ◆애호박=애호박은 말리면 단맛이 더 강해진다. 알이 지나치게 굵지 않고 푸른 것으로 골라 소금물에 살짝 데친 다음 그늘에서 말려야 색깔이 곱게 마른다. 애호박오가리는 물에 불려 꼭 짠 후 나물로 볶아도 좋지만 찌개나 볶음 등을 할 때 함께 요리해도 쫄깃한 식감이 살아나 맛있다.



 ◆가지=껍질이 얇고 육질이 연하면서도 색이 선명한 것을 고른다. 크지 않은 가지는 열십자로 긴 칼집을 넣어 막대나 실에 꿰어 통째로 말리고 긴 가지는 어슷하고 도톰하게 잘라 채반에 널어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서 말린다. 가지오가리는 물에 불려 꼭 짠 후 볶거나 조리기도 하지만 라자냐나 스파게티 요리에 활용해도 별미다.



 ◆무=무는 늦가을에 나오는 것이 가장 달다. 무는 굵은 나무젓가락 굵기에 6㎝ 정도 길이로 썰어 소금과 설탕을 약간 넣고 손으로 훌훌 털듯이 섞어 채반에서 말린다.



 채반에 널었다가 곰팡이가 피었다는 이들이 있다. 무는 수분이 많기 때문인데 이럴 때는 번거롭더라도 실에 꿰어 빨랫줄에 널어두면 바람이 잘 통해 곰팡이가 생기지 않고 잘 마른다.



 물에 불린 무말랭이는 쇠고기나 돼지고기 같은 재료와 함께 볶아도 맛있다. 무를 적당한 크기로 큼직하게 마구 썰기 한 후 겉면이 수들수들하게 말린 무오가리는 고등어나 고기 조림을 할 때 넣으면 너무 무르지 않고 살캉살캉한 무를 먹을 수 있어 좋다.



 ◆무청=알타리무청보다는 그리 굵지 않은 김장 무의 무청을 잘 데친 후 엮어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다.



 시들고 질긴 잎은 떼어 버리고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데친다. 데치지 않고 새끼로 꼬아 겨울 동안 겨울바람에 얼말리기도 하는데, 건조하는 동안 수분이 날아가 보관이 쉬울 뿐 아니라 비타민D가 생성되어 영양도 그만이다. 하지만 데쳐서 말린 시래기보다 약간 질기다.



 물에 불린 무청은 찌개나 조림에 넣어 먹거나 양념에 조물조물 무쳐 쌀과 함께 영양밥을 해도 별미다.



 ◆고춧잎=고추를 따내고 무성한 고춧잎을 떼어 소금물에 데쳐서 말리거나 어린 순을 가지째 잘라 데쳐서 말린다.



 청양고추 잎인지 풋고추 잎인지에 따라 매운맛이 다르므로 잘 골라서 말린다. 말린 고춧잎은 무말랭이를 무칠 때 같이 넣기도 한다. 생선 조림에 넣으면 매콤한 맛이 나면서 비린 맛을 감소시켜 준다.



 ◆감자·고구마=막 수확한 감자나 고구마보다는 분이 많은 저장 감자나 저장 고구마를 부드럽게 찐 후 얇게 썰어 채반에 널어 말린다. 말린 감자나 고구마는 그대로 튀겨도 좋고 찹쌀풀을 입힌 다음 튀겨 부각으로 먹어도 맛있다. 물을 충분히 부어 죽이나 수프로 먹기도 한다.



 ◆토란대=토란대는 억센 섬유질을 벗기고 여러 갈래로 잘라 데친 다음 말려서 보관한다. 말린 토란대는 아린 맛이 강하므로 요리하기 전 끓는 물에 삶은 후 뜨거운 물에 30분 정도 담가 쓴맛을 우려낸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