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마늘의 부정확한 재배면적 통계가 농산물의 안정적인 수급정책 마련에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통계청이 4월27일 발표한 ‘2018년 양파·마늘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양파 재배면적은 2만6418㏊(조생종+중만생종)다. 2017년 1만9538㏊보다 35.2%(6880㏊) 증가했다. 문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내놓은 관측자료와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농경연은 3월1일 발표한 양파 관측월보 3월호에서 올해 양파 재배면적을 2만3114㏊ 정도로 전망한 바 있다. 지난해 대비 재배면적 증가가 3576㏊ 정도라는 것이다. 통계청 발표면적의 절반 수준이다. 농경연은 4월호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발표했다.
농경연 관측월보가 나오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선제적 시장격리, 소비 촉진, 수출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 수급안정대책을 내놨다. 재배면적이 늘면서 평년 대비 15만5000t이 과잉생산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대책에 따르면 4월초까지 제주와 전남지역의 조생종 양파 1만9000t을 산지폐기하고, 농협 책임 아래 하품 1만9000t을 출하중지하는 내용 등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통계청이 발표한 전년 대비 올해 재배면적 증가분이 농경연 전망치보다 2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농식품부는 혼란에 빠졌다. 통계청의 발표대로라면 올해 양파(중만생종) 생산량은 2014년 이후 사상 두번째로 많은 양이다.
마늘도 마찬가지다. 통계청은 올해 마늘 재배면적이 2017년 2만4864㏊보다 14% 증가한 2만8351㏊라고 밝혔다. 하지만 농경연은 관측을 통해 전년 대비 6.1% 증가한 2만6368㏊로 예상했다. 두 기관간 재배면적 차이가 1983㏊에 달한다. 올해 예상 단수인 10α(300평)당 1237㎏을 적용하면 2만4529t에 달하는 엄청난 양이다.
상황이 이렇자 농식품부는 4월30일 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를 열고 양파·마늘에 대한 추가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했다. 양파·마늘 재배면적이 당초 예상보다 대폭 증가한 만큼 초과 공급량을 시장에서 격리하겠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농업계는 통계청의 재배면적 통계에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종자협회 자료를 보면 2017년(2018년 수확) 양파 종자 매출액이 2016년에 비해 20%가량 증가했는데, 재배면적이 35%나 늘었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양파업계 관계자는 “양파는 파종 규격이 정해져 있어 매출액과 재배면적 증가는 상관관계가 있는데, 이번 통계를 보면 이게 전혀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