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사설]식량안보 위해 소규모영농 보호돼야 한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사설]식량안보 위해 소규모영농 보호돼야 한다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11-30 조회 853
첨부  














사설]식량안보 위해 소규모영농 보호돼야 한다
 








식량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원활하게 공급하는 능력은 국민 생존 및 국가경제 발전과 직결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식량안보의 대표적 지표라 할 수 있는 곡물자급률이 계속 낮아져 2009년 26.7%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으며, 사료용을 제외한 식량자급률도 지난해 51.4%로 2004년의 50.2% 이후 역대 두번째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여기에 농지도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지는 1968년 232만㏊에서 2009년 173만㏊로 40여년 동안 정확히 4분의 1이 사라졌고, 2020년이면 159만㏊ 수준으로 떨어져 식량안보 차원에서 최소한 유지해야 할 165만㏊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량안보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발등의 불이 되고 있는 것이다.



농업계 전문가들이 이처럼 불안하기 짝이 없는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식량 수입선을 다변화해 위험을 분산하고 가족 단위 소규모 영농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최근 국제농업개발기금(IFAD)과 농림수산식품부가 공동 주최한 ‘소규모 영농을 통한 지속 가능한 식량안보’ 국제심포지엄에서 나온 이야기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윤석원 중앙대 교수가 “기후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소규모 농가이고, 식량안보 측면에서는 대농보다 소농이 훨씬 더 유리하다”고 말한 것을 정책당국은 흘려듣지 말아야 할 것이다. 미국의 경우도 연간 매출액 10만달러 이상인 농업경영체의 84%가 가족농이라고 한다.



따라서 식량안보를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농지를 보전하고, 농업구조 선진화와 경영체 육성을 추진하되 가족농 등 소농을 보호·육성하는 정책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 경쟁력의 잣대로만 들이대면 소농보다 대농이 유리할 수 있지만, 경쟁력의 잣대로만 잴 수 없는 것이 식량안보 문제인 것이다.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