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벼 애멸구 방제, 지금부터 서둘러야 글의 상세내용
제목 벼 애멸구 방제, 지금부터 서둘러야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2-05-04 조회 896
첨부  

벼 애멸구 방제, 지금부터 서둘러야


전북농기원, 예년보다 밀도 높아 ‘비상’… 저항성 품종선택…못자리때부터 방제를


 벼 애멸구 밀도가 예년에 비해 높은 데다 벼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보독충률도 높아 애멸구 방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북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 겨울 죽지 않고 살아남은 애멸구가 예년보다 많아 벼 재배농가들에게 애멸구 방제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했다.



애멸구는 벼 줄기에 구침을 박고 양분을 빨아 먹으면서 피해를 주고, 벼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잎에 줄무늬를 형성하다가 결국 말라 죽게 하는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옮기는 역할을 한다.



 도농기원은 애멸구가 추석 전에 출하하는 조생종벼에 큰 피해를 입히고, 줄무늬잎마름병은 바이러스병으로 한번 발생하면 사실상 방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애멸구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주남조생> 품종을 선택해 줄 것을 조언했다.



농기원은 또 기온 상승으로 보온 못자리의 비닐이나 부직포를 열게 될 경우 논둑에 있던 애멸구가 못자리로 이동해 피해를 주기 때문에 못자리 때부터 방제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에서 날아온 애멸구는 모판약제 살포만으로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본답 이앙 후 벼물바구미·잎굴파리 등과 함께 방제해달라고 당부했다.



 도농기원 관계자는 “애멸구를 비롯한 병해충 방제는 발생 후 방제하기 전에 미리 방제전략을 수립하고 정밀한 예찰을 통한 예방위주의 방제를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