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 및 고소득 농가간 농가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농가경제통계를 분석한 결과 2007년 상위 20% 농가의 소득이 하위 20% 농가소득의 10.3배에 달해 2005년의 9.3배보다 격차가 더 커졌다.
이는 2005~2007년 소득이 하위 20%인 계층의 농가소득은 연평균 2.4% 감소했지만, 상위 20%인 계층은 2.5%씩 상승했기 때문이다.
하위 20% 농가의 평균소득은 2005년 775만9,000원에서 2007년 739만2,000원으로 줄어든 반면 상위 20% 농가는 같은 기간 7,229만3,000원에서 7,601만1,000원으로 올랐다.
이 같은 농가소득 양극화는 앞으로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농가소득이 1,000만원 이하인 농가의 비율이 2003년 59%에서 2007년은 62.1%로, 5,000만원 이상인 농가는 같은 기간 3.9%에서 4.2%로 각각 늘었기 때문이다.
농가부채도 늘고 있다. 2007년 말 농가부채는 2,994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178만원(6.3%)이 늘었고, 영세농가들의 경우 다른 부채를 갚기 위해 돈을 빌리는 부채의 악순환 현상까지 발생해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더구나 도시와 농촌간의 소득격차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1995년에는 농가소득이 도시근로자 소득의 95%에 달했으나 2002년 73%까지 떨어졌고, 이후 소폭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다 2007년엔 72.5%로 다시 벌어졌다. 특히 저소득계층에서 도·농간 격차는 더욱 크다. 상위 20% 농가의 소득은 도시의 상위 20% 가구소득의 90.8%로 큰 차이가 없지만, 하위 20% 농가의 소득은 도시의 하위 20% 가구소득의 47.9%에 그쳤다.
이처럼 농가소득 양극화의 주된 원인은 농촌을 떠날 수 없는 영세 고령농가들이 규모를 축소하면서 영농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 등이라고 농경연은 분석했다.
박대식 농경연 연구위원은 “농촌사회의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선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교육·건강·주거 등을 고려하는 다차원적인 접근이 요구된다”면서 “빈곤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농촌실정에 맞게 개선하고, 중·소농 육성정책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종순 기자 jongsl@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