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을 앞두고 주요 정당들이 자유무역협정(FTA) 대책, 쌀 대책, 사료가격안정기금 설치 등을 핵심 농정공약으로 내세웠다.
새누리당은 FTA 대책을 우선 공약으로 내세우며 FTA 대책 이행점검을 위한 국회·정부·농어민대표 협의체를 구성하고, 농어업 지원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자유선진당도 FTA 보완대책으로 10조원 추가 투자와 ‘통상절차법’ 개정을 들고나왔고, 통합진보당은 한·미 FTA 폐기와 한·중 FTA 추진 중단 등을 약속했다.
쌀 문제에 대해서는 민주통합당이 식량자급률 제고, 쌀 목표가격 현실화 및 고정직불금 인상 등을 공약하며 매우 적극적이다. 2020년까지 곡물자급률 35%, 식량자급률 65% 달성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고, 쌀 직불금 현실화를 위해 목표가격과 고정직불금의 인상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이다.
새누리당은 쌀의 적정 생산기반 구축을 내세웠고, 통합진보당은 식량자급률 목표치와 대북 쌀 지원을 법제화하는 동시에 주요 곡물에 대한 국가수매제를 실시하겠다고 공약했다.
사료가격안정기금 조성은 주요 정당들이 한목소리를 내는 부분이다.
새누리당은 조사료 생산단지 확대와 국제곡물가 급등에 대비해 사료가격안정기금을 조성하겠다고 밝혔고, 민주당은 사료가격안정기금 설치와 축산발전기금 확대를 공약으로 제시했다.
선진당은 2조5,000억원 규모의 사료가격안정기금을 조성해 국제곡물가 급등의 충격 완화 장치를 마련한다는 방침이고, 통합진보당도 사료가격안정기금 설치와 운용법 제정을 약속하고 있다.
이외에도 삶의 질 향상대책, 귀농·귀촌 지원대책 등 다양한 농정현안이 농정공약에 포함돼 주목받고 있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부터 제19대 총선 선거기간에 돌입해 선거일 전날인 4월10일까지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이뤄진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