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식량자급률 및 곡물자급률 목표치가 상향 조정됐으나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자급률 달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농지가 필요량에 비해 크게 부족할 것으로 예상돼 이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8일 농경연 주최로 열린 ‘농업·농촌의 중장기 변화 전망과 정책과제’ 세미나에서 “2020년 곡물자급률 목표치 32%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75만2,000㏊의 농지가 필요하지만 향후 도시 개발에 따른 농지 전용 등으로 2022년 158만㏊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러한 간격을 채우기 위해서는 농지의 농업진흥지역 편입시 우대조치, 들녘별 농지 재개발사업 등을 통해 농지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