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세를 보이는 고추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대책을 내놨다.
수확시기에도 정부 비축물량을 긴급 방출하고 의무수입물량을 조기 도입하겠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8월 하순 기준 올해 고추 생산 예상량은 지난해보다 17%, 평년보다 34% 각각 줄어든 7만9,000t으로 전망됐다. 이는 재배면적이 지난해에 견줘 4.5%, 평년보다 12.9% 각각 줄고 주산지에 계속된 비로 병해충 피해 발생 등 작황이 현저히 나빠졌기 때문이라고 농식품부는 분석했다.
고추 소매가격은 8월 하순 600g 기준 1만4,080원에서 2일 1만9,940원으로 지난해보다 3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급등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우선 정부가 가진 1,632t의 고추를 8월 말부터 주당 400t씩 방출하기 시작한 데 이어 올해 의무수입물량 가운데 남아 있는 4,185t에다 4,000t가량을 추가 증량해 모두 8,000여t을 조기에 도입, 저가에 방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내년도 의무수입량 6,185t도 조기에 도입해 방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또 그동안 추석 전에 주로 이뤄졌던 농협 계약재배 물량 수매시기를 추석 이후로 연기하고 농촌진흥청과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후기 수량 증대를 위한 기술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여인홍 농식품부 유통정책관은 “8월 하순 이후 맑은 날씨가 지속돼 상대적으로 여건이 양호한 경북과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작황이 좋아지고 있어 생산량 감소폭은 다소 줄어들 전망”이라며 “특별한 기상 악화가 없는 한 추석 이후 고추 가격은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