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봄철 녹비작물 습해 철저 대비를” 글의 상세내용
제목 “봄철 녹비작물 습해 철저 대비를”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03-06 조회 1371
첨부  

“봄철 녹비작물 습해 철저 대비를”


농진청 당부…“물 고이지 않도록 배수로 정비”

인삼밭은 차광막 설치해 두둑 온도변화 줄여야


포토뉴스

재배지에 고인 물로 습해를 입은 청보리 모습.



 농촌진흥청은 봄에 녹비작물과 인삼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습해를 막기 위해 농경지 배수로를 철저히 정비해 줄 것을 당부했다.



 봄이 되면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토양 내 수분이 증가, 산소공급 부족으로 작물들의 양분흡수 기능이 저하돼 습해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콩과인 녹비작물 헤어리베치는 특성상 생육 초기 습해를 받기 쉽다. 김민태 농진청 작물환경과 연구사는 “지난겨울 강원·경북지역 등 폭설이 내린 곳에서는 습해와 각종 병해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면서 “겨우내 망가진 배수로를 정비하고 2~4m 간격으로 배수구를 설치해 물이 고이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폭설 등 자연재해로 해가림시설이 망가진 인삼밭도 빠른 시일 내에 시설을 복구해 저온피해와 습해에 대비해야 한다. 우선 차광막을 걷어 놓았다면 다시 설치해 두둑의 온도변화를 줄여야 인삼 머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물빠짐이 안 좋으면 뿌리가 썩거나 병해 발생 우려가 있는 만큼 두둑과 고랑의 배수관리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3월이 되면 모종삼의 옮겨 심기에도 유의해야 한다. 모종삼은 3월 중순~4월 상순 본밭에 옮겨 심는 것이 가장 좋으나 여의치 않을 경우 -2~0℃ 상태의 냉장고에 보관, 부패와 싹이 트는 것을 막아야 한다. 옮겨 심기 다음엔 4~5㎝ 높이로 흙을 덮어 주고 싹이 반쯤 올라오기 전까지는 피복물을 걷어 내지 않아야 한다.



 김장욱 농진청 인삼과 연구사는 “봄철에 배수관리를 잘 못하면 안정적인 인삼 생산이 어려워진다”며 습해 예방을 위한 인삼재배 농민들의 각별한 관심을 요망했다. 농진청 작물환경과 ☎031-290-6783, 농진청 인삼과 ☎043-871-5546.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