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확대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농식품을 수출 전략상품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농업분야도 미래성장산업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확대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다.
박 대통령은 이날 “최근 세계 굴지의 기업들이 왜 농업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는지, 조지 소로스 같은 투자의 귀재들도 왜 ‘나는 모든 것을 농업에 투자하겠다’ 이렇게 나오는지 그 이유를 살펴보고, 이번 기회에 농업을 우리 경제 수출의 효자산업으로 적극 키워야 한다”며 우리나라의 중장기 성장 잠재력 확충 방안의 하나로 농업 육성을 손꼽았다.
이를 반영하듯 정부가 이날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운용 방향’에도 ‘농업의 미래산업화 추진 방안’이 담겨 있다. 농업에 기술과 아이디어를 융합해 부가가치를 높여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농업분야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별도의 꼭지로 제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수차례나 강조해 온 박 대통령의 의지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미래농업의 발전방안이 새 경제팀의 경제정책 방향에 한 섹션으로 들어갈 정도로 중요하게 다뤄졌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당초 농업분야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한줄 들어가 있었지만, 대통령의 지시로 농업분야가 별도의 섹션으로 포함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농업의 미래산업화’를 위한 추진방안으로 ▲쌀 관세화 대응 ▲농식품 수출확대 ▲농업의 6차산업화 ▲신성장동력 발굴 ▲귀농·귀촌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정보기술(IT)과 생명공학기술(BT)의 융복합, 식품 종자산업 육성, 로컬푸드 확산 등 농업분야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우리 농식품을 중국 등 세계 시장을 겨냥한 수출 전략상품으로 육성해야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앞으로 41조원 이상을 투입해 내수 활성화에 나서는 등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거시정책을 확장적으로 운용하는 새 경제팀의 경제정책방향을 마련,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경제정책방향에는 또 농수축산물 가격안정 대책 마련, 해외진출 활성화와 국내 취약산업의 경쟁력 제고, 전통시장 특성화 추진 등이 포함됐다.
출처: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