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대 교수 “숫자 늘어도 대부분 영세” … 정부와 지자체 통합지원· 전담조직 절실
농촌의 활력화를 위해선 농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지만, 정작 농어촌지역에서 활동중인 기업 대부분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해걸 한나라당 의원(경북 군위·의성·청송)과 한국농어촌공사가 10일 국회에서 공동주최한 ‘농어촌 산업 육성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권혁대 목원대 교수는 ‘농어촌 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연계 방안’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권교수에 따르면 2008년 기준 농어촌지역에서 활동중인 기업은 6,935개로 2002년(6,685개)보다 250개 늘었다. 매년 40개씩 늘어난 셈이다. 하지만 전체의 23.9%(1,657개)가 출자자 개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출자금 규모별로는 1억원 미만이 44.6%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5억원 이상은 11.3%에 불과했다.
특히 농산물 판매 등 농산물 유통·판매 전문업체인 농업전문기업(2008년 기준 4,478개)의 경우, 상용 근로자수가 5명 미만인 곳이 2,749개로 61.4%에 달했다. 근로자가 50명 이상인 곳은 15개로 전체의 0.3%에 그쳤다.
농어촌 기업의 이 같은 영세성은 농어촌 기업 육성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역할 분담이 명확치 않고 담당하는 전담조직도 없으며, 개별사업 중심으로 직접지원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농기업을 연결하는 통합적 지원체계 구축 ▲공동시설 확충 등 간접지원 강화 ▲농어촌 기업체 육성 전담조직 신설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됐다.
권교수는 “농어촌 기업이 정부 지원을 통해 시장경쟁력을 갖출 경우 농어촌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정부는 농어촌 기업을 새로 육성하기 보다는 기존 업체들을 차별화·규모화시켜 효율성을 높여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오영채 기자 출처 : 농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