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이 충남 천안·공주·논산에 이어 국내 최대 양돈단지인 홍성에서도 발생하자 충남도는 도내 사육돼지에 대해 백신 항체형성률 전수조사에 나서기로 하는 등 특단의 방역조치에 돌입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22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4월까지 일제 임상검사 및 항체형성률 전수조사를 통해 구제역 전염 돼지를 현장에서 솎아내겠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항체형성률 전수조사는 도내 838개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4월24일까지 진행된다. 전수조사는 지역별로 3단계에 걸쳐 실시되는데, 항체형성률 30% 미만 농가에는 과태료를 부과하고 60% 미만 농가에 대해서는 교육과 지도에 나선다.
안 지사는 또 “여름이 오기 전인 5~7월에 구제역 근절 프로그램을 추진, ‘충남 클린 축산’의 새로운 계기를 만들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4월 조직개편과 연계해 ‘충남형 가축질병 근절 프로젝트팀’을 신설하고, 6월까지는 농장·지역별 ‘구제역 지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이 지도에는 지역별·농가별 항체형성률 분석 결과, 야외 바이러스항체(NSP) 검출 농가 관리상황, 발생지역 및 지역별 오염도 분석 등을 담게 된다. 이어 7월에는 항체형성률 향상 방안, 출하쿼터제를 통한 과밀 사육농가 지원 배제 등의 내용이 담긴 ‘구제역 근절을 위한 축산농가 협력·준수사항’을 발표할 계획이다.
안 지사는 “돼지 이동제한 조치로 도내 양돈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앙정부 등과 상의해 도내 출하 돼지가 제때 처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예산·홍성=김광동 기자 kimgd@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