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외국인 근로자 인건비 너무 올라 막막합니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외국인 근로자 인건비 너무 올라 막막합니다”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8-10-01 조회 357
첨부  

출처:농민신문





농업회사법인 혜드림의 송태선 대표(오른쪽 두번째)가 외국인 근로자 등과 함께 엽채류 포장작업을 하고 있다.




최저임금 관련 농업회사법인 대표 얘기 들어보니 


내년 10.9% 인상에 ‘한숨’ 숙식 무료 제공도 힘들 듯


“농업·농촌 현실 감안해 업종별 차등 적용해야”


 


“인건비가 너무 급격하게 올라 농업회사법인을 운영하는 데 큰 부담이 됩니다. 인건비가 올랐다고 그만큼 농산물값을 올려 받을 수도 없잖아요?”



경기 포천시 일동면에서 농업회사법인 ‘혜드림’을 운영하는 송태선 대표는 “올해도 겨우겨우 버텼는데 2019년에도 ‘최저임금 10.9% 인상’이 예고돼 있어 어떻게 법인을 꾸려가야 할지 막막하다”며 한숨지었다.



혜드림은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를 갖추고 쑥갓 등 엽채류를 예랭·포장해 수도권에 공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 12명을 고용, 일을 시키고 있다.



송 대표는 “외국인 근로자 1인당 퇴직적립금을 포함해 매월 200만원 가까이 지급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20만~30만원 늘어난 금액”이라면서 “얼마 전에는 열무 1.5㎏ 한단이 100원에 거래된 적도 있는데, 물류비와 인건비 등을 감당하면 어떻게 수지를 맞출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혜드림은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숙식을 무료로 제공하고, 하루 일과가 끝나면 노동의 피로를 해소하고 화합할 수 있도록 약간의 주류도 공급하는 등 가족처럼 좋은 분위기 속에서 함께 일하고 있다. 하지만 최저임금이 추가로 인상되는 내년부터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숙박비를 받을 방침이다. 아무리 해법을 찾아봐도 마땅한 대안이 없어 선택한 고육책이다.



송 대표는 “내년부터 그동안 법인 성장의 밑거름이 돼준 준조합원들에게 출하장려금을 지급할 계획이었다”면서 “공산품의 경우 재료비와 인건비 등 원가를 계산해 판매가격을 결정할 수 있지만, 농산물은 그저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에 따라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 등을 제외하고 장려금을 줄 수 있는 여건이 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송 대표는 따라서 “농업·농촌의 현실을 감안해 최저임금의 업종별 차등 적용 등 보완책이 절실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