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화제]수출 유망작물로 떠오른 창원 GNA영농법인의 ‘이슬송이’ 글의 상세내용
제목 [화제]수출 유망작물로 떠오른 창원 GNA영농법인의 ‘이슬송이’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3-06-03 조회 1494
첨부  

[화제]수출 유망작물로 떠오른 창원 GNA영농법인의 ‘이슬송이’


가식률 높고 육질 단단해 반응 좋아


일본 시험판매에서 인기

네덜란드 등서 구매 희망

종균 분양 계약재배 추진


포토뉴스

김영찬 GNA영농조합법인 대표가 공처럼 둥근 표고버섯인 이슬송이를 들어 보이고 있다.



 국내의 한 버섯생산자단체가 재배중인 이색 버섯이 ‘농업의 반도체’로 불리는 파프리카를 능가할 수출 유망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농산물 수출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 버섯은 GNA영농조합법인(대표 김영찬·경남 창원시 진전면)이 선발·육종한 공처럼 둥근 표고버섯인 ‘이슬송이’(본지 2012년 4월27일자 보도).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산임산수출팀이 지난해부터 올해 3월 말까지 일본 현지에서 이 이슬송이의 마켓테스팅(상품 적합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연간 1만~2만t의 수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만t을 선적할 경우 160억엔(1㎏당 800엔)의 수출고를 올린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이것은 금액으로 치면 파프리카 전체 수출액(2012년 약 90억엔)의 1.7배가 넘는 규모다.



 김영찬 대표(51)는 “일본의 한 유통매장에서 판촉사원 없이 테스트 판매를 한 결과 40㎏이 이틀 만에 다 팔렸다”며 “이슬송이는 자루가 없어 가식률이 높고 일반표고보다 육질이 단단해 일본 소비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었다”고 전했다.



 14일 농식품부와 산림청이 주최하고 aT가 주관한 바이어상담회에서도 이슬송이의 인기는 폭발적이었다. 일본의 소화무역·센토레스타·도큐스토아 등은 9월부터 선적해 줄 것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으며, 네덜란드·미국·스페인 등의 유통회사들도 구매의사를 밝혔다. 특히 네덜란드의 미트로는 유럽 전역 독점권을 요청했을 정도다.



 이렇게 전망이 밝다 보니 경남도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경남도청 관계자들은 물론 경남도의회 농해양수산위원회 의원들도 이슬송이 재배사를 다녀가는 등 경남을 대표하는 작물로 키울 방안을 강구중이다.



 다만 한가지 애로사항이 있다면 아직 양산 체계가 갖춰지지 않아 대량생산 및 수출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 이달까지는 월 3~4t 생산이 전부인데, GNA영농조합법인은 올해 3월 배양센터와 현대식재배사 27동을 완공하고 현재 종균을 입식한 상태다. 8월부터는 월 50~60t씩 본격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슬송이는 국제특허(제10-1035898호)와 품종보호 등록을 해둬 다른 나라에서 포자를 가지고 흉내낼 수도 없습니다. 일본의 반응에서 보듯 수출과 내수 모두 성장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만큼, 앞으로 자체생산 외에 국내 농가에도 종균을 분양해 전량 계약재배할 계획입니다.”



 김 대표는 “아직은 초기단계라 기반조성, 운전자금 마련 등에서 어려움이 있지만 버섯 출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올가을이면 시장 반응이 클 것”이라며 “이슬송이를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고 수출에도 큰 몫을 하는 대표적인 효자 작물로 육성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