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마스크, 올바르게 잘 써야 미세먼지 안 먹어요 글의 상세내용
제목 마스크, 올바르게 잘 써야 미세먼지 안 먹어요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8-11-19 조회 203
첨부  

출처:농민신문





마스크 잘 고르고 잘 쓰는 법


 


구입 때 주의해야 할 사항


보건용, 섬유 촘촘하게 짜여진 KF80·94·99 표시된 것 사야


올바른 착용법은


코·턱에 밀착하도록 써야 효과 착용 뒤에는 겉면 만지지 말아야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마스크가 생활필수품으로 떠오른 지 오래다. 그렇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다. 불편하고 답답해서이기도 하지만, 미세먼지의 위험성과 마스크의 중요성을 잘 몰라서 더 그렇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마스크 착용이 왜 중요한지부터 마스크를 제대로 고르고 쓰는 법까지 알아봤다.







◆온몸에 퍼지는 미세먼지, 노약자 특히 위험=보통 먼지는 들이마셔도 코털과 기관지 점막에서 걸러진다. 반면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의 1/7 정도로 매우 작은 미세먼지는 걸러지지 않고 폐까지 침투한다. 심지어 머리카락 굵기의 1/30 정도인 초미세먼지는 일반 미세먼지보다도 작고 가벼워 혈관과 연결된 폐 깊숙한 곳까지 쉽게 도달한다.



명준표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초미세먼지가 혈관을 따라 온몸으로 퍼지는 데는 채 5분이 안 걸린다”며 “몸 구석구석에 축적된 초미세먼지는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폐암 등 호흡기질환은 물론 심장질환과 부정맥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말한다.



호흡기·심혈관계 질환을 앓는 사람이나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에게는 더욱 위협적이다. 이렇듯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온 미세먼지가 온몸을 병들게 한다.

 


 





◆마스크, 의약외품·KF 표시 확인해야=미세먼지로부터 몸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마스크 착용이다. 그렇다고 아무 마스크나 쓰면 안된다. 황사·미세먼지 차단기능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정받은 ‘보건용 마스크’를 써야만 한다. 보건용 마스크는 방한용·패션 마스크와는 달리 섬유의 짜임이 매우 촘촘하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통과하기 어렵다. 식약처로부터 인정받은 보건용 마스크에는 ‘의약외품’이라는 표시가 적혀 있으니 구매 전에 반드시 확인한다.



의약외품 표시와 함께 확인할 것은 ‘KF’ 표시다. 보건용 마스크에는 입자 차단성능을 나타내는 KF80·KF94·KF99 등의 표시가 적혀 있다. 숫자가 높을수록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좋다는 뜻이다. 얼핏 KF99가 제일 나을 것 같지만 그렇지는 않다. 성능이 뛰어날수록 짜임이 촘촘해 사람에 따라서는 숨쉬기가 불편할 수 있다. 가령 호흡기능이 약한 어린이·임산부·노인에게는 KF80이 적당하다.



이와 함께 자신의 얼굴 크기에 맞는 마스크를 고르는 것도 중요하다. 마스크가 너무 크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빈틈이 생겨 미세먼지가 들어올 수 있고, 반대로 너무 작으면 코와 입을 완전히 가릴 수 없다. 특히 어린이는 전용 마스크가 따로 없어서 가능한 한 작은 크기로 골라 얼굴에 밀착해 사용한다.  







◆얼굴에 밀착해 쓰고 재사용은 금물=고르는 법만큼 착용법도 중요하다. 명 교수는 “마스크를 얼굴에 밀착하라”고 거듭 강조한다. 답답하다거나, 화장이 지워진다거나, 얼굴에 자국이 생긴다는 등의 이유로 마스크를 헐겁게 쓰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겨 미세먼지가 들어올 수 있어서다. 따라서 마스크를 쓸 때는 넓게 펼쳐 코와 턱 전체를 가리고 철사로 된 코 지지대를 꼭꼭 눌러 마스크 윗부분이 코에 단단히 밀착되게 만든다.



또한 머리카락이나 수염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빈틈을 만들지 않게 주의한다. 휴지 등을 마스크 안에 덧대 사용하는 것도 금물이다. 밀착력이 떨어져 미세먼지가 침투할 수 있다.



착용하고 나서는 가능한 한 겉면을 만지지 않는다. 모양이 변형돼 제 기능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번 사용한 마스크는 먼지나 세균에 오염됐을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하지 않는다.



◇도움말=명준표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