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손관정’ 뚫으며 가뭄과 사투 글의 상세내용
제목 ‘손관정’ 뚫으며 가뭄과 사투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6-17 조회 1248
첨부  

출처:농민신문


‘손관정’ 뚫으며 가뭄과 사투


인천 강화 삼산면 농민들

6~7명씩 3조 나눠 땀뻘뻘…사람 힘만으로 쉼없이 굴착

양수 기름값 만만찮아 고민


포토뉴스

“물이다”  바짝 마른 논에 물을 대기 위해 논두렁에 손관정을 뚫은 강화군 삼산면 상리 농업인들이 쏟아지는 물줄기를 보면서
환호성을 지르고 있다.



 “자,
다시 한번 힘을 냅시다. 하나, 둘, 셋! 하나, 둘, 셋!….”



 토요일인 13일 오후 2시, 인천 강화군 삼산면 상리의 한
들녘. 한여름 뙤약볕 아래 한 무리의 농민들이 비오듯 쏟아지는 땀방울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논둑에 쇠파이프를 박느라 여념이 없었다.



 논둑에 물을 부어가면서 파이프를 손으로 돌리고 힘으로 눌러 조금씩 땅속으로 박아 넣었다. 그러기를 20여분. 4m 파이프 3개가
잇달아 들어갈 만큼 깊이가 확보되자 농가들은 박은 파이프를 빼낸 다음 새 파이프를 꽂고 여기에 호스로 양수기와 연결했다.



 양수기가 탁한 발동음을 내면서 돌아가자 3~4분간 흙탕물만 쫄쫄 나왔다. 마음이 다급해진 논 주인 조충희씨(60)가 파이프와
양수기의 연결 부위를 논두렁의 흙으로 다시 두껍게 덧발랐다.



 바로 전에 땅에 박은 파이프에서는 물이 나오지 않아 새로 뚫은
것이라 모두들 입술에 침이 말랐다. 양수기에 고정된 14개의 눈동자가 미동도 하지 않고 있는 순간 쫄쫄 흐르던 물줄기가 조금 세진다 싶더니
‘콸콸’ 소리를 내며 물을 토해내기 시작했다.



 ‘와’ 하는 환호성과 함께 박수가 터졌다. 숨죽여 작업을 지켜보던 김삼순
삼산면농업인상담소장이 쏟아져 나오는 물에 재빨리 염도측정기를 갖다 댔다. 염도는 0.08%. 농업용수로 ‘합격’. 논 주인 조씨의 눈가에는 엷은
이슬이 맺혔다.



 주민들에게는 ‘쫄장’이라고 불리는 ‘손관정’이 성공을 거두는 순간이다. 손관정은 별다른 장비 없이 사람의 힘으로
파이프를 땅속 12m 깊이까지 박아 수압을 이용해 지하수를 뽑아 올리는 강화지역의 전통 지하수 개발방식이다.



 ‘석모도’로 더 잘
알려진 삼산면은 섬 지역이라 급수차 등을 이용한 농업용수 공급은 딴나라 이야기다. 도선료도 비싸고 급수차가 와도 공급할 물이 없다. 외부에서
물을 싣고 오려면 경기 김포까지 가야 하는데 거리도 멀고 시간도 오래 걸려 배보다 배꼽이 크다. 그저 하늘의 처분만 기다리던 농가들이 마지막으로
선택한 수단이 바로 손관정이다.



 손관정을 제안한 김진복씨(55)는 “25년 전 마을에 저수지가 생긴 이후 손관정을 뚫는 작업은
처음이라 옛날 경험을 가진 마을 어르신들의 자문을 구했다”며 “다행히 땅속에 돌이 많지 않아 비용도 적게 들어가고 손의 느낌으로 수맥을 찾기
때문에 기계보다 더 빨리 지하수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산면에서는 지난 6일부터 농가 예닐곱명씩 3개 조가 손관정을 파고
있다. 그동안 판 손관정은 60개 정도. 초기에는 하루에 10개씩 팠지만 요즘은 작업자들도 지쳐 5~6개 정도 밖에 파지 못한다.



 근 열흘째 손관정 작업에 매달리고 있는 남상집씨(56)는 “논이 바짝 말라 급한 곳부터 돌아다니면서 작업을 하는데 마을
어르신들도 마냥 손을 놓고 있을 수 없다며 손관정 뚫는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산면사무소에 따르면 주민들이 손관정을
뚫어 공급하는 물은 관정당 하루에 적게는 30t, 많게는 200t 이상이다. 손관정 1개를 개발하는 데 드는 비용은 파이프 값을 포함해 20만원
정도. 최근 300만~400만원까지 뛴 소형지하수 개발비용에 비하면 훨씬 저렴하다.



 물론 고민거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양수비용이다.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상 전기시설이 부족해 양수기를 돌릴 때 모두 휘발유를 사용해야 해 비용이 만만치 않다. 조충희씨는 “그나마
지금 물을 댄 0.4㏊의 논에 물이 차려면 3일 이상은 양수기를 돌려야 한다”면서 “전체 9㏊에 달하는 논에 이런식으로 양수하려니 이제는
기름값이 걱정”이라고 하소연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