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급증하는 외래잡초…농작물 생육 위협 글의 상세내용
제목 급증하는 외래잡초…농작물 생육 위협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10-08 조회 504
첨부  

급증하는 외래잡초…농작물 생육 위협

가시박·도깨비가지 등 일반 작물 양분흡수 방해…천적도 없어 농경지 ‘황폐화’
수입 농산물따라 유입 늘어…현재 110여종 달해
검역 강화·광역단위 방제 등 특단대책 마련해야

작물과 양분흡수 경합으로 농산물 수확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외래잡초 개체수가 급증해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사진은 경북 안동지역의 논에 가시박이 침입한 모습.

 토종생물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황소개구리·뉴트리아 등의 외래생물로 인해 국내 생태계가 신음하고 있다. 식물계도 예외가 아니다. 가시박·애기수영 등 외래잡초가 개체수를 늘려가며 각종 농작물까지 위협하고 있다.



 ◆외래잡초 발생면적 급증=외래잡초 발생면적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가시박은 2010년 19만5650㎡(5만9184평)에서 지난해엔 26만1750㎡(7만9179평)로 34% 늘었다. 미국쑥부쟁이도 2006년 6만150㎡(1만8195평)에서 지난해 17만3300㎡(5만2423평)로 188%나 급증했다.

 외래잡초 발생면적이 이처럼 늘어나는 것은 농산물 수입 확대에 따른 잡초 종자 유입 증가와 기후변화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외래잡초는 농산물 수입이 본격화된 1980년대부터 국내 유입이 대폭 늘어났다. 수입농산물 반입량과 외래잡초 발생면적이 비례한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외래잡초 발생면적이 확대되면서 잡초의 농경지 침입도 많아지고 있다. 주로 산지나 하천변에서 일차로 발생한 뒤 바람 또는 물을 통해 농경지로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외래잡초는 현재 110여종에 달한다”며 “ 최근엔 경기 안성지역 인삼밭과 경북 안동지역 논 등에서 대량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농경지 발생 땐 큰 피해=농경지에 침입한 외래잡초는 농작물의 수량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예컨대 북미가 원산지인 가시박은 악취를 풍길 뿐만 아니라 8m까지 자라는 덩굴줄기가 작물을 덮어 광합성을 못하게 한다. 해외 연구자료에 따르면 10㎡(3평)의 옥수수밭에 가시박 15~20개체가 발생하면 옥수수 수확량이 80% 줄고, 28~50개체가 발생하면 90~98% 감소한다.

 남미가 원산지인 도깨비가지는 조사료 등의 작물과 치열한 양분흡수 경합을 벌인다. 특히 가시가 달려 있어 조사료 수확 때 섞여 들어가면 가축이 먹고 소화를 못해 탈이 나기도 한다. 또 주로 밭에서 자라는 가늘털비름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전파하는데, 강낭콩 밭에 발생하면 콩 수확량이 최대 40%까지 감소한다.

 이들 잡초는 한그루에 수만개의 종자를 보유하고 있거나 토양에 1㎝의 뿌리만 남아 있어도 며칠 만에 원래대로 자라나는 등 생존력과 번식력이 매우 뛰어난 게 특징이다. 더구나 국내엔 마땅한 천적도 없는 실정이어서, 한번 발생하면 경작지가 황폐화될 수도 있다.



 ◆대책마련 절실=외래잡초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관계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은 특히 방제작업의 효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학계의 한 전문가는 “외래잡초는 일차 발생지인 하천변이나 산지 등에서 조기에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산지나 하천은 보통 여러 시·군에 걸쳐있는 만큼 방제작업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광역단위로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파가 빠른 외래잡초의 특성을 감안해 지역별 방제보다는 광역단위로 방제를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방제기술을 개발해 매뉴얼을 만들고 식물검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학계의 또다른 전문가는 “방제기술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부 지자체가 섣불리 방제에 나섰다가 오히려 외래잡초를 확산시킨 경우도 적지 않다”며 “하루빨리 잡초별 방제법을 개발하고, 이를 매뉴얼로 만들어 전국 지자체 등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외래잡초의 추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식물검역 등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