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무작정 수렵 허용하면 피해 커” …야생멧돼지 관리 나선 벨기에의 투트랙 전략 글의 상세내용
제목 “무작정 수렵 허용하면 피해 커” …야생멧돼지 관리 나선 벨기에의 투트랙 전략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9-10-11 조회 236
첨부  

출처-농민신문





올 1월 기준 벨기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지역 지도. 분홍색 선이 발생지와 그 인접지역인 존2(Zone2), 파란색 선이 그 바깥지역인 존1(Zone1)이다. 지도 안 동그라미는 ASF 바이러스 ‘양성’을, 세모는 ‘음성’을 뜻한다. 사진제공=벨기에 연방식품안전청(FASFC)




유럽 ASF 대응은


사냥에 놀란 야생멧돼지 더 멀리 이동할 수 있어 발생지 등에선 포획틀만 사용


그 외 구역에선 총기 허용하되 시기·상황별로 유동적 조율


중앙·지방정부 역할분담, ASF 진정국면 진입에 한몫


 


2일 경기 연천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되며 국내에서도 위험지역 내 야생멧돼지 퇴치에 비상이 걸렸다. 아시아에 앞서 ASF를 겪은 유럽은 주요 감염경로로 꼽히는 야생멧돼지를 어떻게 퇴치·관리하고 있을까?




벨기에는 야생멧돼지 퇴치로 ASF를 잡은 대표적인 나라로 꼽힌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따르면 벨기에에선 2018년 9월 이후 지금까지 600여건(모두 야생멧돼지)의 ASF 발생사례가 있었으나, 강력한 퇴치정책을 펴 올 3월부턴 사실상 진정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지난달엔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벨기에는 ASF가 발생하자 확산을 막기 위해 발생지역을 크게 ‘존1(Zone1)’과 ‘존2(Zone2)’ 2개 구역으로 나눠 야생멧돼지 퇴치를 진행했다. 발생지역인 ‘커넬존’과 그 인접지역인 ‘버퍼존’은 존2로, 그 바깥의 ‘예찰강화존’과 ‘경계존’은 존1로 구분했다.




존2에선 공익목적 이외의 차량통행을 통제하고, 야생멧돼지 폐사체와 의심개체 예찰을 평소보다 강화했다. 멧돼지 퇴치는 포획틀을 이용한 표적수렵만 제한적으로 허용했다. 반면 존1에선 차량통행을 허용하고 모든 수렵을 적극적으로 허가했다. 존2에 포획틀만 허용한 것은 멧돼지의 특성상 수렵을 하면 오히려 행동반경이 넓어져 ASF 바이러스를 더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벨기에는 시기와 상황에 따라 존 운영을 유동적으로 조율했다. 소강상태에 접어든 3월부턴 존2에서도 포획틀만 아니라 총을 이용한 포획도 허용했다. 수렵견 사용을 금지했던 버퍼존에선 야생멧돼지 수색용으로 소형 수렵견을 이용할 수 있게 허가해줬다.




이밖에 벨기에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분담해 집중적인 방역에 힘썼다. 중앙정부에선 돼지사육농장에 대한 방역관리를, 지방정부에선 야생동물에 대한 방역업무를 담당한다.




벨기에 인접국이자 ASF 비발생국인 독일과 프랑스는 더 강력한 야생멧돼지 소탕작전으로 펼치고 있다. 독일은 ASF가 발생하면 수렵인 약 30만명을 동원할 수 있는 제도를 운용 중이다. 프랑스에선 2018년 한해 약 50만마리의 야생멧돼지를 수렵했다. 1월엔 벨기에 접경지역을 ‘백색지대’로 명명하고 군부대를 동원해 야생멧돼지 소탕을 진행했다. 또 벨기에와 국경이 맞닿은 아르덴지역엔 야생멧돼지 유입을 막기 위해 20㎞ 길이의 펜스를 새로 설치 중이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