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기획]돈버는 농업의 시작…고품질 ‘액비’를 활용하자⑶순천 별량농협·순천광양축협 글의 상세내용
제목 [기획]돈버는 농업의 시작…고품질 ‘액비’를 활용하자⑶순천 별량농협·순천광양축협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10-22 조회 481
첨부  
[기획]돈버는 농업의 시작…고품질 ‘액비’를 활용하자⑶순천 별량농협·순천광양축협

친환경 쌀 생산비 40% 절감

협동조합간 상생…품질도 월등

김정현 별량농협 과장대리(왼쪽부터)와 심우선 별량친환경쌀작목반장, 정춘택 순천광양축협 과장대리가 액비를 써 재배한 친환경 벼 포장에서 수확을 앞둔 벼 작황을 살펴보고 있다.

    지자체마다 지역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기능성 쌀에서부터 친환경 쌀까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갖가지 농법이 총동원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기능성이 가미되고 친환경 재배로 생산되는 쌀은 값을 높게 받을 수 있고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는 분명한 장점이 있지만 생산비가 많이 투입된다는 점은 극복해야 할 과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남 순천 별량농협(조합장 최진도)과 순천광양축협(조합장 이성기)이 의기투합해 펼치고 있는 가축분뇨 액비를 활용한 친환경 쌀 생산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순천광양축협이 축산농가들로부터 수거·처리해 공급하는 가축분뇨 액비를 별량농협에서 활용해 친환경 쌀을 생산하는 것인데, 생산비 절감에 탁월한 효과를 보고 있다. 가축분뇨 액비를 활용한 친환경 벼 재배로 관행보다 40%이상의 생산비를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곳에서 액비를 활용한 친환경 벼 재배단지가 운영되기 시작한 것은 2011년부터다. 1998년부터 대규모 친환경 쌀 재배단지를 운영하기 시작한 별량농협은 당시 관행농업보다 훨씬 높은 친환경 농자재비용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고민하다 액비를 활용한 경축자연순환농업을 도입했다.

 김정현 별량농협 과장대리는 “친환경쌀 농업의 특성상 영농자재비용이 차지하는 부분이 일반 관행농업보다 훨씬 높아 농가에게 영농비 부담이 너무 컸다”며 “순천광양축협 경축자원화센터에서 생산한 고품질 액비를 친환경농법에 접목한 뒤 기존 고비용 자재비를 절감하고 토양개선 등으로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액비는 당해 벼 수확이 끝난 후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1~2회 살포하고 있다. 10α(300평)당 살포량은 3t 정도다.

 액비 사용 후 벼 수확량 증가보다는 품질 향상과 생산비 절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별량농협이 2011년부터 실시한 시범포 운영결과 10α당 조곡 수확량은 600㎏ 정도로 관행 재배 때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비와 추비 등 영농자재비에서는 10α당 5만2200원의 차이가 났다. 무농약 친환경 벼 시범포에는 액비 3t과 120㎏, <맞춤16호> 20㎏, <맞춤추비 29호> 5㎏을 투입해 6만5550원의 생산비가 들어가 일반 재배(11만7750원)보다 5만2200원이 절약됐다.

 1만3200㎡(4000평)의 무농약 친환경벼를 재배중인 심우선 별량친환경쌀작목반장(63)은 “2011년부터 가축분뇨 액비를 쓴 뒤 생산비를 40~50%는 줄일 수 있었다”면서 “게다가 벼 생육기 수세형성이 잘 되고 등숙률과 현미율도 양호하게 나타나 고품질 친환경 쌀 생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등 겨울철 사료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사료작물 수확이 4월 이후에나 가능해 액비 살포시기와 벼 이앙시기가 겹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액비를 써 벼농사를 지으려면 살포시기와 적정 시비량 등을 사전에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진도 별량농협 조합장은 “액비를 활용한 자연순환농업에 대한 농가들의 이해가 높아지면서 참여농가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며 “현재 생산되고 있는 <순천미인쌀> <컴앤씨(come @nd see)> 등 친환경 쌀 브랜드 외에 향후 액비를 이용해 생산된 친환경 쌀 브랜드를 개발해 농가소득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