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최근 1년새 중국·호주 등과 무더기 FTA…통상당국 독주…농업계는 소외 글의 상세내용
제목 최근 1년새 중국·호주 등과 무더기 FTA…통상당국 독주…농업계는 소외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4-12-22 조회 407
첨부  

최근 1년새 중국·호주 등과 무더기 FTA…


통상당국 독주…농업계는 소외


베트남 땐 의견수렴조차 안해

통상 업무 중립기관에 맡겨야

 잇따른 자유무역협정(FTA)에서 통상당국의 독주로 대표적 피해산업인 농업계의 입장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최근 1년사이 통상당국의 주도로 호주·캐나다·뉴질랜드·중국·베트남 등 5건의 FTA를 체결했다. 우리나라는 2002년 한·칠레를 시작으로 모두 15건(52개국)의 FTA를 체결한 상황인데, 현 정부 들어 불과 1년 만에 전체의 30%(5건)가 타결됐다. 1년에 한번꼴이던 FTA를 1년에 5번이나 전광석화로 밀어붙인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찾기 힘든 엄청난 속도의 몰아치기식 FTA 추진이다.



 이 과정에서 FTA로 인한 대표적 피해산업인 농업계의 입장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해 농산물 시장개방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축산강국인 호주·캐나다·뉴질랜드 등 영연방 3개국에는 15년 내 관세철폐로 쇠고기시장을 개방했으며, 농업계가 반대했던 치즈시장마저 크게 내줬다. 특히 베트남과의 FTA에서는 농업계의 의견이 철저히 무시되며 천연꿀·생강·마늘·고구마전분·팥 등 대표적인 고관세 품목의 관세가 철폐됐다. 이들 품목은 지금까지의 FTA에서 상대국의 끈질긴 요구에도 고관세율을 지켜냈던 품목들이다. 우리나라가 가입을 추진 중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상대국들이 한·베트남 FTA 수준으로 이들 품목의 시장개방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 큰 골칫거리를 안게 됐다.



 특히 한·베트남 FTA는 생산자단체에 대한 의견수렴조차 생략돼 농업인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농협품목별전국협의회는 17일 통상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를 방문해 “피해 당사자인 생산자와 한마디 협의 없이 한·베트남 FTA를 타결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강력 항의했다. 협의회는 통상당국 사과와 소득보전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필요시 전국 농업인이 참여하는 FTA 규탄대회를 개최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우태희 통상교섭실장은 “농업보호를 우선시하고 있고, 농림축산식품부와도 협의한 결과”라고 답변했지만, 한·베트남 FTA의 경우 농식품부 의견을 무시한 채 통상당국이 일방적으로 밑어붙였다는 게 농업계의 시각이다.



 통상당국의 독주는 현 정부 들어 통상주무부처가 외교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로 바뀐 데 따른 예견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립적인 위치에 있는 외교부처가 아닌 산업담당부처가 통상을 담당하면서, 농업보다는 대기업 등 산업적인 측면을 우선시한다는 지적이 많다.



 복수의 농민단체장들은 “FTA에서 농업희생만을 강요하면 한·미 FTA와 같은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통상당국의 독주를 견제할 장치가 마련돼야 하고, 통상업무를 미국처럼 중립적인 성격의 기관에 맡기는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