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채소농가 ‘시련의 2014년’ 글의 상세내용
제목 채소농가 ‘시련의 2014년’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1-09 조회 403
첨부  

채소농가 ‘시련의 2014년’


배추·무 등 대부분 채소값 사상 최대 하락폭

과일값도 7.6% 떨어져…당분간 약세권 우려


포토뉴스

 지난해
채소류 가격이 전년 대비 사상 최대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4년 소비자
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신선채소류 소비자물가지수(가격)는 84.36으로 2013년 101.85에 비해 17.2% 하락했다. 이는 통계청이
198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대 하락률이다. 과일류 지수도 지난해 전년 대비 7.6% 하락하며 약세를 면치 못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공급이 늘어나 채소류를 비롯한 과일 등 농산물 가격이 대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하락폭이 가장 큰 품목은 배추였다. 하락률이 무려 43.9%에 달했다. 2013년 1000원이었다면 지난해 561원으로
거의 반토막이 났다는 얘기다. 배추는 지난해 매 작형별로 4회에 걸친 시장격리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회복하지 못했다. 양배추와 양파도 각각
43.4%, 41% 떨어져 40% 이상의 하락률을 보였다.



 최근 시장격리 대책이 발표된 당근의 경우 33.7% 하락했다. 당근은
지난해 생산량이 6만7000t으로 평년보다 11%나 늘었다. 이에 따라 도매가격은 지난해 10월 3만4066원(20㎏ 기준)에서 12월
1만5153원으로 급락한 상태다. 이는 12월 평균가격보다 37% 낮은 수준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9000t을 시장격리하고, 가공 수요를
2500t 늘리는 등의 수급 안정대책을 내놨지만 배추 등의 사례를 볼 때 효과는 미지수라는 게 시장의 평가다.



 이밖에
파(-31.1%), 무(-25.9%), 시금치(-24.5%), 양상추(-19.3%), 열무(―14.4%) 등 거의 모든 채소류의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양파·배추·마늘 등의 재배의향면적이 감소해 올해에는 채소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최소한 올 상반기까지는 지난해의 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파종해 이번 겨울을 나고 출하되는 채소류 등이 전반적으로 과잉
기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김진필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은 “지난해 채소류 등의 농산물 가격이 급락하면서 농가들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졌다”면서 “농산물값 급락은 정부의 수급조절 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수급조절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