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기획]구제역 청정국 비결은⑴백신 미접종 청정국 ‘필리핀’ 글의 상세내용
제목 [기획]구제역 청정국 비결은⑴백신 미접종 청정국 ‘필리핀’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1-28 조회 507
첨부  
[기획]구제역 청정국 비결은⑴백신 미접종 청정국 ‘필리핀’

‘통제~박멸’ 10여년 지속방역



감시·국민 홍보·가축이동·백신 등 엄격 관리

감염된 가축 소유주엔 어떤 보상도 하지 않아

자국
바이러스 적합한 백신으로 과감히 대체



포토뉴스

필리핀은 1996년 구제역 박멸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 추진한 이후 15년 만인 2011년 백신 미접종 청정국 지위를 얻었다. 사진은 필리핀
돼지농장 모습.




 우리나라는
지금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렇지만 축산 강국은 물론 경제적으로 우리보다 뒤처진 국가도 지속적인 방역을 통해 ‘백신
미접종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우리와 축산업 여건이 비슷한 국가 중 백신 미접종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필리핀·덴마크·일본 등의 가축방역 사례를 알아본다. 가축질병 발생을 막기 위한 교훈으로 삼기
위해서다.







 ◆5년째 청정국 지위 유지=필리핀은 2011년 세계동물보건기구(OIE)부터 ‘백신 미접종 청정국’을
인정받은 뒤 지금까지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2005년 12월28일 이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 데 따른 당연한 결과다.



필리핀은 현재 동남아 지역의 몇 안되는 구제역 청정국이란 자부심 아래 구제역의 유입 방지를 위한 워크숍 활성화, 시뮬레이션 연습,
축산단체와의 협력 강화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최소한 구제역 방역에서만큼은 우리보다 ‘행복’을 구가하고 있는
셈이다.







 ◆어떤 노력 기울였나=필리핀에서 구제역이 처음 보고된 것은 1902년. 이후에도 구제역으로 홍역을 치른
필리핀은 1995년 루손섬에서 또다시 구제역(O형)이 발생하자 급기야 ‘구제역 테스크포스(NFMDTF)’를 조직하고,
통제(1996~2000년)·안정화(2000~2004년)·박멸(2004~2009년)이라는 3단계의 장기적인 구제역 방제 계획을 마련했다.
10여년에 걸쳐 엄격하고 지속적인 방역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이다.



 이 계획의 핵심은 구제역에 대한 감시와 대중 이해도
확대(홍보 강화), 가축 이동관리, 백신 등 4가지 요소를 통합하는 것으로, 특히 ‘규정준수감시팀(CMT)’은 구제역을 박멸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CMT의 역할은 구제역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의 농장이나 시설 등에서 가축 이동 및 도축 등과 관련된
정부 규정을 잘 따르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것으로, 감염된 가축에 대해선 소유주에게 어떤 보상도 하지 않고 몰수나 폐기를 강제로 명령하는 게
가능했다. 이 때문에 당시 농민들과 생산자단체 사이에선 CMT의 역할이 너무 지나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없지 않았다.



 그렇지만
CMT는 이에 굴하지 않고 보다 엄격한 감시를 통해 당국이 구제역 관련 정책을 입안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생산했다. 또 당국은 농가들에게
‘구제역과 관련해서는 엄격한 조치를 철회할 생각이 없다’는 메시지를 CMT를 통해 전달했다. CMT에 힘을 실어준 것이다.







 ◆백신 과감히 교체=필리핀이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 백신이다. 1995년 이전엔
O1·A24·C3형 등 3가지 구제역 바이러스가 발생함에 따라 주로 유럽에서 3가 백신을 수입해 사용했다.



 하지만 1995년
루손섬에서 발생한 구제역의 혈청이 O형으로 확인되자 이때부터 유럽산 ‘O-마니사’ 항원 단가백신을 사용했고 결국엔 자국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더욱
적합한 ‘필리핀 97’ 백신으로 대체했다. 이후 3년간 구제역 발생이 없자 필리핀 정부는 2009년 더 이상 백신접종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다고
공포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가. 2010~2011년 구제역 파동 이후 예방백신을 접종, 천신만고 끝에 2014년 5월
OIE로부터 ‘백신 접종 청정국’이란 지위를 얻었지만 불과 2개월 후인 7월 경북 의성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2개월 만에 지위를 상실했다.



 그 이후 지금까지 구제역이 계속 발생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백신에 대한 효능 논란이 커지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까지 3가형
백신(A형·O형·아시아1형)을 사용하고 있다. 일부에선 O형 단가백신을 써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 백신을 수입하기
위해선 8개월 정도가 소요된다는 얘기만 들릴 뿐이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