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귀농·귀촌 사상최대…“정착 뒷받침을” 글의 상세내용
제목 귀농·귀촌 사상최대…“정착 뒷받침을”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3-23 조회 499
첨부  

귀농·귀촌 사상최대…“정착 뒷받침을”


지금은 귀농·귀촌시대

지난해 4만4586가구 기록…귀농보다는 귀촌이 급증세

타농촌 재이주·역귀농 10%


포토뉴스

 지난해
농촌으로 이주한 귀농·귀촌가구가 사상 최대인 4만4586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의 3만2424가구보다 37.5% 늘어난 규모다.
귀농은 소폭 증가에 그쳤으나, 농촌에 정주하기를 원하는 귀촌이 크게 늘어난 것이 요인이다. 연령별로는 40~60대가 전년보다 30%대의 상승률을
보인 가운데, 30대 이하도 53%나 증가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은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4년 귀농·귀촌인 통계를
발표했다.



 



 ◆귀농은 소폭 상승=지난해 귀농가구는 1만1144가구(1만8864명)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1만923가구)에 견줘 2.0% 많고, 2012년(1만1220가구)보다는 약간 적다. 귀농가구가 연간 1만1000가구 수준에서 등락을
보이는 셈이다.



 귀농은 지역별 쏠림 현상이 뚜렷했다. 경북(19.5%), 전남(16.5%), 경남(12.3%),
충남(11.1%), 전북(10.8%)에 70.2%가 집중됐다. 이들 지역은 영농여건이 양호하면서 농지같이 초기 투자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귀농 가구주 평균 연령은 53.5세로, 40~50대가 62%나 차지했다. 또 1~2인 가구가
82.9%에 달해 혼자 혹은 부부 노동력으로 농사짓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추정된다.



 5000㎡(1512평) 미만의 농사짓는
가구가 75%이며, 1만㎡(3025평) 이상은 8%에 불과했다. 평균 재배면적은 4492㎡(1358평)다. 일부라도 타인 소유의 농지를 빌린
임차가구가 전체의 40.4%에 달했다. 선호하는 작목은 채소가 43.5%로 가장 많고, 과수·특용작물·논벼 순이다.



 ◆귀촌은
급증=지난해 귀촌가구는 3만3442가구(6만1991명)로 전년보다 55.5%나 급증했다.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보는 “고용불안과 탈도시화 바람이
겹치며 농촌으로 사람이 몰렸고, 귀농보다는 전원생활을 하는 귀촌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도별로는
경기(30.3%), 충북(12.7%), 제주(10.7%)의 비율이 높았다. 이들 지역은 수도권에 인접해 생활여건이 좋거나 자연경관이 좋은
곳으로, 땅값이 싼 지역이 많은 귀농 선호지역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특히 제주는 전년대비 16.5배나 늘며, 귀촌 선호지역으로
급부상했다.



 핵심층인 40대와 50대가 전년보다 각각 55.2%, 61.6% 늘어난 가운데, 30대 이하도 71.9%나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1~2인 가구의 비율은 76.5%로 조사됐다. 가족들이 모두 농촌으로 이주하는 비율이 귀농보다 상대적으로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귀촌 전 거주지역은 경기(27.6%), 서울(23.6%), 인천(5.4%) 등 수도권이 56.6%를 차지했다.



 ◆재이주,
역귀농·귀촌 대책 시급=당초 정착한 지역을 옮기거나 도시로 되돌아간 이들도 상당수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농식품부는 타농촌으로의 재이주가
8.8%, 역귀농·귀촌이 1.9%로 추산하고 있다. 도시민 열명 중 한명은 귀농·귀촌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기웅
순천대 교수는 “소득 불안정성과 지역민들과의 융화가 가장 문제”라며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을 확대하고, 기존 주민과 귀농인 사이의 이질감이
없도록 제도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시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귀농·귀촌 비용 증가와 농업장래
불확실성은 귀농·귀촌 증가 추세에 악재가 될 수 있다”며 “귀농·귀촌 촉진보다는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하는 쪽으로 정책이 바뀌어야 하고, 젊은
귀농·귀촌인을 농업 6차산업화의 주체로 키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츨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