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중동순방 이후 정부와 농업계가 할랄식품 수출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7개월 만에 주재한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우리 농식품이 ‘제2의 중동붐’ 조성을 위한 첨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제2의 중동붐은 경제 재도약을 위한 하늘의 메시지”라면서 “이번에 할랄식품의 중동 진출 길을 어렵게 열었다”고 말했다. 이어 “할랄식품은 성장 전망이 매우 높은 산업이지만 공정도 까다롭고 정보도 부족해서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는 데 애로가 많았기 때문에 이번 양해각서(MOU) 체결 순간이 참으로 소중했다”면서 “앞으로 인증기준 마련과 할랄식품 전용단지 조성 등 수출 확대를 위한 종합지원 체계를 조속히 구축하고, 단기적 이익보다 신뢰와 믿음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할랄식품 수출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11일 관계기관·업계와 공동으로 할랄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발족한 데 이어, 부서 내에 기존 ‘수출진흥과’와 별개로 ‘할랄식품수출팀’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식품기업의 중동지역 진출을 돕기 위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지사를 설치하고 한국대사관에 농무관 파견을 추진한다. 기존 ‘농식품수출개척협의회’에 할랄분과도 신설한다.
농식품부는 이와 함께 2016년까지 할랄 전용 도축장과 도계장을 지정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축산물의 경우 할랄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도축방식 등 요건이 까다로워 별도의 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지난해 6억8000만달러였던 할랄식품 수출을 2017년까지 12억3000만달러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농협도 팔을 걷었다. 농협은 17일 이슬람권을 대상으로 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올해 핵심과제로 선정하고, 무이자 자금지원과 현지 박람회 참여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협은 이슬람권 수출에 필수조건인 ‘할랄인증’과 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100억원의 무이자 자금을 지원한다. 또 이슬람권 식품박람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신규 바이어를 발굴하고 농협 식품이 할랄이 추구하는 안전한 식품이라는 점을 홍보할 계획이다. 특히 할랄인증 품목을 김치·김·음료 등 10개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 할랄인증을 받은 품목은 유자차뿐이다.
●할랄식품=할랄이란 아랍어로 ‘신이 허용한 것’이란 의미로, 이슬람 율법상 무슬림이 먹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식품·의약품·화장품 등을 총칭한다. 할랄식품은 이슬람식으로 도축된 소·양·사슴·닭·오리고기와 모든 종류의 과일·채소류가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