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고흥군, 벼 2기작 모내기…올 재배면적 5.3㏊로 확대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5-03-30 | 조회 | 673 |
첨부 | |||||
고흥군, 벼 2기작 모내기…올 재배면적 5.3㏊로 확대날씨 좋으면 7월20일 수확농가 새소득모델 발전 기대![]() 전남 고흥군 동강면 소재 죽암농장에서 20일 포트육묘 기계 이앙기를 이용해 극조생종 품종인 ‘기라라 397’ 벼를 모내기하고 있다. 전남 고흥군(군수 박병종)이 벼농사를 통한 새로운 소득모델 창출을 위해 5.3㏊의 면적에 벼 2기작 모내기를 해 관심을 끌고 있다. 군은 동강면 소재 죽암농장(대표 김종욱)에서 20일 포트육묘 기계 이앙기를 이용해 극조생종 <기라라 397> 품종 벼를 1만3200㎡(4000평)에 모내기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5일 빠른 것으로, 지난 2월12일 볍씨를 파종해 37일 만에 포트육묘 기법으로 모를 심은 것이다. 출수 후 날씨만 좋다면 7월20일경 수확이 가능하다. 죽암농장은 4월1일까지 기상 여건을 고려해 3만9800㎡(1만2040평)에 추가로 모내기를 실시할 예정이다. 포트육묘는 모 한포기 한포기가 포트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앙할 때 뿌리 손상이 적고, 육묘기간이 길어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하며 활착이 빨라 수량이 20% 정도 높다. 이번에 모내기를 한 벼는 추석명절(9월27일) 이전에 소비자의 밥상에 오를 수 있고, 햅쌀 선물용으로 판매할 수 있어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고흥군과 죽암농장은 일년에 두번 재배하는 벼 2기작을 목표로 재배면적을 지난해 1만3200㎡에서 올해 5만3000㎡(1만6030평)로 확대해 고흥 쌀 이미지 제고는 물론 획기적인 농법연구로 쌀산업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박병종 군수는 “이번 조기 벼 모내기를 통해 성과가 좋을 경우 2기작 재배면적을 확대해 쌀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농가의 실질적인 소득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