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귀농·귀촌 추세 계속되면 20년 뒤 ‘농촌인구’ 증가” 글의 상세내용
제목 “귀농·귀촌 추세 계속되면 20년 뒤 ‘농촌인구’ 증가”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4-15 조회 980
첨부  

“귀농·귀촌 추세 계속되면 20년 뒤 ‘농촌인구’ 증가”


농경연 분석…중·장년층 중심 유입땐 한계

“젊은층 들어와야 기반유지…배려정책 필요”



포토뉴스


 최근의
귀농·귀촌 추세가 계속되면 20년 뒤 인구감소 문제로 몸살을 앓는 농촌지역의 인구가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농경연이 최근 발간한 ‘귀농·귀촌 증가 추세와 정책과제’란 제목의 <농정포커스>에서 “향후 인구이동이
최근의 추세대로 지속되는 낙관적인 시나리오(상위)를 가정할 때 2013년 기준 930만명인 농촌인구는 2033년에는 95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고 밝혔다.



 이는 농경연이 연령별 출산율과 사망률, 도농 간 인구이동률 변동 추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뒤, 인구이동률을 상위·중위·하위 세개 시나리오로 구분해 향후 농촌인구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다.



 중위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2033년 농촌인구가 현재와 비슷한 928만명 수준을 유지했으며, 가장 비관적인 하위 시나리오에서는 2013년 이후 농촌인구가 계속 줄어들어
2033년에 810만명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귀농·귀촌에 따른 인구이동 추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이를 통해
농촌인구 감소를 늦추려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송 선임연구위원은 “농촌인구 감소는 국토 전체의
균형발전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이므로 귀농·귀촌 인구이동은 농촌뿐 아니라 국토 균형발전의 의미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며 “귀농·귀촌 인구이동을
앞으로 일정기간 동안 지속시키고 이들이 기존 주민과 융화될 수 있게 지원하는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와 같은
중장년층 중심의 인구 유입으로는 농촌의 인구 감소를 부분적으로 늦출 수는 있지만 장기적인 농촌의 인구 기반을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인은 심각한 고령화다. 보고서는 농촌에서 20~30대 젊은층의 순유출이 우세한 추세가 지속되면 최악의 경우 2013년 기준
20.1%인 농촌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0년 후에는 36%, 40년 후에는 51.7%까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심각한 고령화 추세를 꺾지 못하면 귀농·귀촌에 따른 사회적 인구증가보다 자연감소(사망)의 영향이 더 커지는 시점에서는
낙관적 시나리오라고 하더라도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를 막기는 어렵다.



 송 선임연구위원은 “장기적으로 농촌인구를 유지하려면 젊은
귀농·귀촌인을 배려하는 정책사업이 더욱 다양해지고 심화돼야 한다”면서 “일본의 ‘후계농 육성 정책 프로그램’이나 프랑스의 ‘젊은 농업인
직불금(young farmers’ direct payment)’처럼 경험과 자본이 취약한 젊은세대의 농촌 정착을 유도하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