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농약 인증 폐지에 대비한 주요 과수의 유기재배 매뉴얼이 올해 말이나 돼야 농가에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 저농약 인증 폐지 시점이 올해 말인 점을 감안하면 매뉴얼 보급이 너무 늦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친환경농업 활성화 방안’을 통해 사과·포도·감귤·배·단감에 대한 유기재배 매뉴얼을 올해 말까지 개발·보급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당초 2014년에 사과·포도·감귤, 2015년에는 배 유기재배 매뉴얼을 제작해 보급할 계획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매뉴얼 제작이 계속 늦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농식품부가 침체돼 있는 친환경농업을 되살릴 의지가 과연 있는지 의심스럽다는 반응이 나온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저농약 인증이 폐지되면 저농약 농가들이 무농약 이상의 인증으로 올라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밝혀 왔다. 하지만 정작 이를 뒷받침할 매뉴얼 마련에는 소홀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된 셈이다.
한 친환경농가는 “올해 말까지 저농약 재배를 하다가 그때 나오는 매뉴얼을 보고 새해부터 바로 무농약이나 유기재배를 하라는 것이냐”라며 “매뉴얼을 만든다고 하면 최소한 1년 전에는 농가에 보급해 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또 다른 농가는 “매뉴얼이 없다고 무농약 재배를 못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이는 친환경농업 활성화에 대한 농식품부의 의지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과실류의 경우 무농약 이상 인증을 받기가 매우 어렵다. 병해충 방제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결과 저농약 인증 폐지 시 무농약 및 유기로 전환하겠다는 비율이 17%에 그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농가들이 당장은 재배 매뉴얼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매뉴얼 제작·보급마저 늦어져 저농약 인증 농가들이 대거 관행농업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