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관계기관 간의 조사료 생산통계가 큰 차이를 보여 농가 및 생산자단체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달 국립축산과학원이 낸 작황예측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겨울 파종해 올봄 수확 예정인 사료작물 예상 생산량은 2014년보다 약 16% 감소한 66만8705t으로 나왔다. 이 예상치는 축산과학원이 전국 8개도 170개 조사료 재배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료 직불금을 받은 농지의 작황을 조사한 것이다.
하지만 농림축산식품부의 조사료 수급통계 자료는 이와 딴판이다. 농식품부의 자료는 아직 공식 통계가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해 발표 자료로 추정해보면, 올봄 사료작물 생산량은 2014년의 186만9000t에서 감소분 16%를 감안해도 약 157만t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축산과학원 자료와는 무려 90만t 이상, 2.35배나 차이가 난다.
이렇게 통계 수치가 ‘달라도 너무 다른’ 원인은 조사방법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축산과학원은 실제 경작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농식품부는 종자보급량으로 생산량을 산출한다. 농협·한국낙농육우협회·국립종자원 등을 통해 보급한 종자량을 모두 취합한 후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35㎏에 1《, 청보리는 150㎏에 1《 등의 방식으로 면적을 산출하고 여기에 작황을 고려해 생산량을 추정하는데, 종자 파종 단계에서 미파종·과다파종 등 실제 경작과 일치하지 않는 허수가 발생하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농가들이 “어느 장단에 맞춰 춤을 추란 말이냐”며 정부정책을 믿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일. 축산농가들은 “조사료 관련 정부 자료는 애초부터 믿지도 않았다”며 “국산 조사료 이용을 강조하려면 정확한 데이터부터 만들라”고 불신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기관마다 차이가 크거나 부정확한 통계 자료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당장 재정비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잘못된 통계는 산업 전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성경일 강원대 동물생명과학대 교수는 “사료작물 자급률 84%는 다른 작물에 비하면 월등히 높은 수치인데, 왜 사료 수급에 문제만 생기면 자급률 저조를 문제 삼는지 모르겠다”며 “이는 결국 사료작물 생산량에 그만큼 허수가 많다는 걸 자인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부터 연간 1억15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조사료 통계관측 조사사업’을 추가했다”며 “종자 공급실적에 지역별 파종량, 실제 생산량 표본조사, 생산비 조사 등을 거치면 통계차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또 “현재 정확한 통계 방법을 만들기 위해 전문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 중”이라며 “6월경 보고서가 나오면 약 3년의 검증작업을 거쳐 실제 통계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출처: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