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뭄 확산에 대응해 총체적인 대비책 마련에 나섰다. 지자체도 가뭄 피해 확산을 위해 총력전에 돌입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금까지의 강수량과 6월 기상 전망을 볼 때 가뭄 양상이 확산될 우려가 크다고 보고, 지자체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과 함께 가뭄재해 방지 대책에 총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3일부터 가동하고 있는 농업재해대책상황실을 확대 편성해 운영하는 한편 실시간으로 가뭄지역별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아울러 전국 지자체와 농어촌공사에 가용 재원 및 인력·장비를 최대한 동원해 긴급 영농급수대책을 추진토록 지시했다.
농식품부는 현재 가뭄대책비 35억2000만원과 지자체별 예비비 180억여원을 투입해 가뭄피해에 적극 대처하고 있으며, 가뭄상황 상시 점검체계를 통해 피해 확산 시 추가적인 지원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가뭄피해 예방을 위해 3일 용수개발비 20억원을 시·군에 긴급 지원하고 시·군 부단체장 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가뭄이 심한 지역의 들샘, 하천 굴착 등 간이용수원 개발과 기존 관수장비 보강을 위해 용수개발비를 지원하고, 각 시·군은 지역 실정에 맞는 대책을 추진토록 했다. 또 시·군이 보유 중인 양수장비를 총 동원해 가뭄이 심한 지역에 우선 지원하기로 했다.
인천시 강화군은 가뭄이 극심한 양사면·교동면·하점면·내가면 지역의 논에 모를 이앙하고 농업용수가 없어 타들어 가고 있는 농경지에 우선 급수를 하고 있다. 매일 30여대의 소방차량 등을 동원해 김포시 통진읍 가현리 수로에서 농업용수를 싣고 4개 읍·면에 급수 중이다.
한편 농식품부에 따르면 4일 현재까지 인천·경기·강원·경북지역에서 모내기를 완료한 논 중 천수답지역을 중심으로 1850㏊의 논에서 물마름 현상이 나타났다. 또 고추·감자·옥수수·배추 등 밭작물 2180㏊에서는 시듦현상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