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지 취재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국회에 이런 내용을 담은 ‘개방시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대책’을 보고했다. 농식품부는 보고에서 “농산물 수입 증가와 농가 교역조건 악화 추세가 계속되면 2024년 농가소득이 도시가구의 51% 수준까지 떨어지는 등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을 것”이라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대외개방을 완결한다는 인식 아래 피해 보완대책과 더불어 농업의 근본 체질을 개선하고 농가소득과 경영을 안정시키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0년 후 농산물 수입액 35조원=농식품부는 보고에서 “한·중 FTA를 포함하면 2013년 기준 우리가 수입한 농산물의 FTA 체결국 비중이 80%에 달했다”며 “FTA가 누적되면서 국내에 미치는 여파가 커지는 동시에 새로운 FTA 체결도 확대되는 등 (한국농업이) 전면 개방시대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농식품부는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 관세를 철폐하는 한·미, 한·유럽연합(EU) FTA 등의 영향으로 국내 농업생산액 2~4위인 돼지고기·쇠고기·닭고기는 2028년부터, 오렌지·포도·체리는 2018년부터 전량 무관세로 수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농산물 수입액이 2014년 249억달러(27조7000억원)에서 2024년 317억달러(35조3000억원)로 10년 새 68억달러(7조6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317억달러는 2013년 우리나라 농업생산액 46조6489억원의 75% 수준이다.
농식품부 분석에 따르면 한·중 FTA가 없더라도 향후 20년 동안 중국산 농산물 수입액은 연평균 1억3400만달러(1491억원) 늘어나고 국내 농업생산액은 연간 5200억원, 20년에 걸쳐서는 10조4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본지 4월24일자 1면 참조).
◆수입 증가로 농가소득 하락=농식품부는 농산물 수입 증가가 국내산 농산물 판매 감소와 가격 하락을 초래해 농가소득을 떨어뜨릴 것으로 분석했다. 농식품부는 보고에서 “1995년부터 2010년까지 농산물 가격이 27.6% 오른 데 반해 농자재와 같은 중간투입재 가격은 126.4%나 올랐고, 이런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며 “특히 (값싼) 수입 농산물 증가는 국내산 농산물 가격의 천장효과(더 이상 올라갈 수 없는 한계선이 존재한다는 의미)를 유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농가인구 감소, 농촌 고령화 또 다른 위협=농식품부는 농가인구 감소와 농촌 고령화가 농업·농촌의 또 다른 위협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2024년 농가인구는 2014년 275만2000명보다 17% 감소한 229만5000명, 농가수는 112만1000가구에 견줘 12% 적은 99만1000가구로 추산했다. 또 농가경영주 평균 연령이 2013년 65.4세에서 2025년에는 77.5세로 12년 동안 12.1세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신규 인력 유입이 사실상 중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가들의 시장개방 적응력을 높이고 개방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농업 성장기반과 수출 확대 ▲농업·농촌 안전망 강화를 3대 축으로 하는 중장기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관련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