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기획]FTA 시대…축산 비결 대공개(16)냄새 저감 양돈농장 운영 이연원 예산 덕산농협 조합장 글의 상세내용
제목 [기획]FTA 시대…축산 비결 대공개(16)냄새 저감 양돈농장 운영 이연원 예산 덕산농협 조합장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6-24 조회 1473
첨부  
출처:농민신문

[기획]FTA 시대…축산 비결 대공개(16)냄새 저감 양돈농장 운영 이연원 예산 덕산농협 조합장

사료 단백질 함량 2~3% 줄여 악취 완화


돈사에 왕겨·톱밥 깔아 호기발효…마리당 면적 1.2㎡로 넓게

농가에 퇴비 무상공급…육질 고급화 위해 오메가 함량 조절도


포토뉴스

“퇴비 생산이야말로 축산의 주요 목적”이라고 말하는 이연원 덕산농협 조합장은 냄새 저감기술로 생산한 양질의 퇴비를 지역농가들에 무상 제공해
호응을 얻고 있다.



 “축(畜)자를
살펴보면 밭(田)을 검게(玄) 하는 것입니다. 곧 밭을 비옥하게 하는 축산은 경종농업과는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으며, 축산농가들도 이 축자의
의미를 잘 새겨 인근 농가들과 유대관계를 돈독히 해야 합니다.”



 이연원 충남 예산 덕산농협 조합장(52)의 축산에 대한
지론이다. 돼지 5000마리, 소 100마리 사육규모의 ‘가나안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이 조합장은 요즘 축산과 농협 일을 겸하는 ‘일복’ 터진
날들을 보내고 있다.



 이 조합장의 가나안농장은 농촌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분뇨처리와 악취 문제를 말끔히 해결해 지역사회에서
민원이 발생하지 않는 농장으로도 유명하다. 국립축산과학원이 지난 4월 펴낸 <양돈장 냄새 저감기술 우수사례> 중에서 첫 사례로 꼽혔을
정도다.



 가나안농장의 양돈장 냄새 저감기술 중 첫번째는 사료의 단백질 함량을 낮추는 것. 악취는 분뇨에 포함된 단백질에 부패균이
증식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암모니아나·황화수소 때문이다. 이 조합장은 돼지 사료에 단백질을 줄여줌으로써 악취 발생 정도를 크게 완화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조합장은 “속성 비육 위주의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단백질 사용이 높은 나라 중 하나”라며 “농장에서 직접 조제한 배합사료에
밀기울·풀 등 섬유질을 추가해 단백질 함량을 2~3% 낮추자 냄새가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귀띔했다.



 바닥에도 비육돈사는 5㎝,
임신돈사는 30㎝ 높이로 왕겨나 톱밥을 깔아 공극률을 높이고 호기발효를 유도한 것도 주효했다. 여기에 소독약과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 원칙을
지켜 유효 토착미생물의 번식이 잘 되도록 하자 냄새는 줄고 퇴비화 과정은 원활히 진행되는 이중의 효과를 봤다. 가나안농장의 잘 부숙된 왕겨
퇴비는 손으로 들어 코에 가까이 대도 냄새를 못 느낄 정도다.



 이밖에 동물복지 차원에서 분뇨가 돼지 몸에 덜 묻도록 마리당 돈사
면적을 권장면적인 0.7~0.8㎡보다 훨씬 넓은 1.2㎡로 설정함으로써 냄새의 휘산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이 조합장은 이렇게
생산한 돈분 퇴비를 덕산면·봉산면의 100여농가에 무상으로 제공하는데, 냄새가 없고 퇴비 효과가 뛰어나 농가들의 반응이 아주 좋다. 연간
공급량은 3000~4000t에 달한다.



 냄새 저감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육질 고급화를 위해 오메가 지방산의 균형을 맞춰주는 것도
그가 각별히 신경쓰는 대목이다. 이 조합장은 “동물의 몸은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의 비율이 1대 4일 때 최적의 균형을 이룬다”며
“아마씨와 식물의 잎 등을 최대한 활용해 오메가 함량을 조절, 맛도 좋고 몸에도 좋은 고기를 생산 중”이라고 밝혔다.



 가나안농장에서는 월평균 600마리의 돼지를 출하하는데, 200마리는 유기농돼지(2006년 유기농축산물 인증)로 생협·백화점 등에
납품하고, 400마리는 <오메가3돼지>라는 브랜드로 백화점과 대형 할인매장에 공급한다.



 “축산의 의미는 고기를 얻는
것 외에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는 이 조합장은 “앞으로 지역 내 축산농가들을 규합해 자연순환농업에 기여할 자급 사료공장을
건립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