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콩, 파종 늦었으면 어린 모종 키워 옮겨심도록 글의 상세내용
제목 콩, 파종 늦었으면 어린 모종 키워 옮겨심도록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6-29 조회 1445
첨부  

출처:농민신문


콩, 파종 늦었으면 어린 모종 키워 옮겨심도록


새 피해 막아 입모율 높아져…본밭에서 솎음·제초작업 줄어

2번째 본잎 나올 때 이식…모가 웃자랐을 땐 순지르기 후에


포토뉴스

육묘과정에서 모종이 웃자랐을 때 순지르기한 모습(왼쪽)과 정상적인 육묘 상태(오른쪽).



 최근
가뭄으로 일부 지역에서 콩 파종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대안으로 콩 파종 시기를 연장할 수 있는 육묘 이식 재배 기술을 소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농진청에 따르면 콩 육묘 이식 재배는 콩을 직접 밭에 파종하지 않고 어린 모종을 10~15일 정도 키워 밭에
옮겨 심는 것으로, 콩 생육 기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뭄지역 콩 재배농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콩 육묘
이식 재배는 입모 시 새로 인한 피해를 막아 입모율이 높아지고, 직접 콩을 파종하는 것과 비교할 때 본밭에서의 솎음작업과 제초작업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뭄극복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콩 육묘 이식 재배를 위해서는 먼저 모판에 구멍당 2립을
심으면 된다. 심는 간격은 장류와 메주용 콩의 경우 골 사이 70㎝, 포기 사이 15~20㎝, 나물용은 골 사이 60㎝, 포기 사이 10㎝가
알맞다.



 7월 이후 늦뿌림(만파) 재배를 할 경우 심는 간격을 좁게(10~15㎝) 해주는 것이 좋다. 이식 시기는 초생엽(떡잎이
나온 후 생기는 잎)이 완전히 펴진 후부터 2번째 본잎이 나오는 때가 적당하며 뿌리내림에 유리하다.



 다만 육묘 이식 재배 때
일손부족 등으로 이식을 제때 못해 모가 웃자랐을 경우 순지르기를 한 다음 이식해야 한다. 순지르기는 초생엽 위 마디 사이를 가위로 잘라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육묘상 재배 가능 기간이 10~15일에서 15~20일로 늘어 농가에서 이식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강항원 농진청
생산기술개발과장은 “가뭄 때문에 미처 콩을 파종하지 못한 농가는 어린 모종을 키워 본밭에 옮겨 심는 육묘 이식 재배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055-350-1267.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