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한발 앞선 일본의 낙농정책 글의 상세내용
제목 한발 앞선 일본의 낙농정책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7-30 조회 738
첨부  
출처:농민신문

한발 앞선 일본의 낙농정책

목장 유형 세분화해 맞춤 전략


후계농 육성·사료비절감 지원

지역·농장 규모 고려해 육성

 일본이
생산기반이 약화되고 있는 낙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목장 유형을 6가지로 세분화해 전략적으로 육성한다는 정책을 펴 눈길을 끌고 있다.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ALIC)는 농림수산성이 올해 상반기에 마련한 ‘낙농 및 육용우 생산 근대화 기본방침’을 자체 발행하는
<축산정보> 7월호에 상세히 소개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축산 관련 기본방침을 약 5년마다 개편하고 있으며, 이번에 수립한 방침은
2025년까지 내다본 정책이다.



 이 기본방침의 핵심은 낙농업의 수익성 향상 및 생산기반 강화를 위해 후계농 육성, 사육마릿수
확보, 사료비 절감에 주안점을 둔 정책 추진과 축산농가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목장을 6가지 유형으로 나눠 유형별 경영이 이뤄지도록 지원한다는
것이 골자다.



 우선 후계농 육성을 위해서는 농협 등 관계기관에 폐업 예정 농가와 신규 낙농 희망자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농협은 폐업 목장을 취득해 축사 개보수, 가축 입식 후 희망자에게 임차해주는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유상 양도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방목을 권장할 계획이다. 일본 농림수산성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방목과 축사사육의 경영 효과를
비교한 결과 방목이 마리당 22만엔(한화로 약 206만원) 절감돼 30~40%의 소득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비의 40%를
차지하는 사료비 절감방안으로는 경종농가와 연계해 사료용 쌀의 생산 및 이용을 확대한다. 일본에서는 고영양 벼 발효조사료(WCS) 이용이 점점
늘고 있다.



 전국 1만8000여목장은 크게 토지 제약이 적은 지역(주로 홋카이도)과 제약이 많은 지역(주로 도부현)으로 구분한
뒤 다시 각각 가족목장, 대규모 가족목장, 대규모 법인목장으로 나눠 유형별 발전 전략을 수립하도록 했다.



 일본은 지역 실정과
농장 규모를 고려한 경영지표를 통해 각 목장들의 경쟁력을 높여 생산비 절감과 매출액 증가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