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출하물량을 확대하고 할인판매를 늘려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7월30일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추석 대비 한우가격 특별 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은 생산자, 소비자, 유통업계,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한우 수급조절협의회의 논의를 거쳐 마련했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대책에 따르면 우선 2일부터 22일까지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음성·부천·도드람 등 수도권 3대 축산물 도매시장의 도축능력을 최대한 가동, 상장물량을 10% 확대해 도매가격을 안정화하기로 했다. 현재 이들 3개 도매시장의 한우 상장마릿수는 하루 1100마리 정도인데, 작업능력을 풀가동하면 1260마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17일부터 9월20일까지 농협 계통매장, 대형 유통매장, 공영홈쇼핑을 통해 한우고기를 시중가격보다 20% 정도 할인해 판매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추석을 앞둔 9월4~26일까지는 농협과 한우협회 주관으로 한우 선물세트 11만개를 시중가격보다 20~30% 할인판매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추석 이후엔 직거래장터 및 이동판매 차량 운영 등을 활성화하고 장기적으로는 한우 번식률 제고, 우량 송아지 공급 확대, 협동조합형 패커 육성은 물론 한우 수급정책 모형을 개발해 한우가격 안정을 도모하기로 했다. 농식품부가 이 같은 대책을 마련한 것은 한우가격이 계속 강세를 이어가면 소비이탈 현상이 심화돼 수입쇠고기에 시장을 내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우 산지가격(600㎏ 1마리 기준)은 지난해 평균 539만원에서 올 3월엔 533만원으로 약간 떨어졌으나 6월엔 609만원까지 뛰었다. 이 같은 가격은 평년(542만원) 대비 12.4%나 오른 것이다. 지난해 평균 1만4283원이었던 한우 도매가격(지육 1㎏ 기준) 역시 올 6월엔 1만5843원으로 오른 데 이어 7월에는 1만7000원 선을 넘어선 상태다.
이 때문에 생산자단체에서도 한우가격 상승에 따른 부작용을 심각하게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정부 대책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재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한우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것은 사육마릿수가 줄어 산지에 출하할 물량이 적기 때문인데, 한우를 앞당겨 출하하면 추석 이후 물량 공백 현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