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FTA시대 품목별 대응전략⑶건고추…중국산 건고추 거센 공세 - 음식점 등 소비 현장 글의 상세내용
제목 FTA시대 품목별 대응전략⑶건고추…중국산 건고추 거센 공세 - 음식점 등 소비 현장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8-18 조회 1391
첨부  
출처:농민신문

FTA시대 품목별 대응전략⑶건고추…중국산 건고추 거센 공세 - 음식점 등 소비 현장

냉동고추·다진양념 저가 잠식…국산은 외면


소비자도 거부감 덜해져


포토뉴스

지방의 한 고춧가루 제조업체에 중국산으로 표기된 냉동고추 포대가 잔뜩 쌓여 있다. 중국산 냉동고추는 관세가 건고추의 10분의 1인 27%에
불과해 수입업체들이 선호한다.



 “요즘
식당에서 누가 국산 고춧가루를 쓰나요. 거의 외국산을 사용할 겁니다.”



 5일 서울 송파구의 한 먹자골목. 이곳에서 김치찜
전문식당을 운영 중인 박미영씨(가명)는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식당 대부분이 냉동고추나 다진양념 같은 중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박씨는 “국산 고춧가루는 품질이나 빻는 기술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1㎏당 1만4000~1만7000원을 줘야 하는 반면 중국산은 그
절반인 7000~9000원대면 구입할 수 있다”면서 “음식장사도 돈 벌려고 하는 것인데 큰 문제만 없다면 저렴한 식자재를 쓰고 싶은 것은 당연한
일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제 웬만한 식당들이 중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해선지 손님들의 거부감도 예전보다는 덜하다”고 했다.



 실제로 이날부터 9일까지 닷새간 기자가 서울 송파·강동지역의 요식업소 10곳을 돌아본 결과, 국산 고춧가루만을 쓴다고 응답한
곳은 단 3곳에 불과했다. 7곳 가운데 4곳은 중국산 고춧가루만, 3곳은 중국산과 국산을 섞어 쓴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는 기자가 고춧가루의
원산지를 물어본 데 따른 대답이다. 10곳 중 4곳은 고춧가루에 대해 별도로 원산지 표기를 하지 않고 있었다. 소비자로선 업주에게 묻지 않는 한
고춧가루의 원산지를 알 길이 없고 물어보더라도 업주가 거짓으로 대답할 경우엔 실제 원산지를 알 수 없는 셈이다.



 중국산을 쓰는
이유에 대해서는 7곳의 모든 업주가 ‘가격이 싸서’라고 답했다. 일부는 품질도 마음에 든다고 얘기했다. 매콤한데다 색도까지 높아 빨간 국물을
내야 하는 짬뽕·순두부 등을 만들 땐 국산보다 낫다는 것이다.



 충북지역의 중견 고춧가루 제조업체 대표인 김철우씨(가명)는
“업계에 종사한 지 40년이 넘었는데 국내 생산량이 급감했던 2010~2011년을 기점으로 학교급식 납품업체나 고급 김치 제조업체 등을 제외한
대형거래처 상당수가 가격이 싸고 안정적인 중국산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산을 취급하지 않고는 업계에서 살아남기 힘든 게
현실이다보니 전국의 고춧가루 제조공장 가운데 국산만을 취급하는 곳은 30%가 채 안 될 것”이라고 털어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외국산(주로 중국산) 건고추는 2014년산 기준으로 지난해 8월~올 7월25일까지 10만4181t이 수입됐다. 2013년산
수입량(2013년 8월~이듬해 7월) 9만6407t에 비해 8%가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2014년산 자급률은 52%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