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토양내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밀도 정밀진단 가능 글의 상세내용
제목 토양내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밀도 정밀진단 가능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5-09-08 조회 1055
첨부  

출처:농민신문


 


토양내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밀도 정밀진단 가능


농진청, 기존보다 정확도 100배 이상 높은 배지 개발

병 조기진단·재배 최적예정지 선정·발생예찰 등에 도움

 인삼
연작(이어짓기)장해의 주요 원인인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밀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인삼
재배 예정지를 정하거나 현재 포장에서 인삼을 계속 재배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토양 내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밀도를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선택배지와 분자마커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선택배지 기술은 인삼 뿌리썩음병을 일으키는 ‘시린드로카폰 데스트럭턴스’ 병원균이
생성하는 ‘라디시콜’이라는 이차대사산물을 이용한 것으로, 배지에 첨가하면 다른 균은 자라지 못하고 인삼 뿌리썩음병원균만 배양된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이 선택배지를 해당 토양에 첨가해 병원균을 2일간 배양 후 토양 DNA를 추출한 뒤, 이 병원균에만 있는 유전 부위를 이용하는 분자마커와
실시간 유전자 분석기(real time PCR)로 밀도를 판별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밀도를 검출하면 토양 이렇게밀도를검출하면
토양1g당 병원균 포자 10개 미만으로도 판별이 가능하다. 밀도를 판별하는 시간은 총 3~4일이 걸린다.



 농진청은 선택배지에 따른
토양 전처리과정 때문에 기존 방법에 비해 2일 정도 판별시간이 더 걸리지만 검출 정확도는 100배 이상 높다고 설명했다. 또 이 기술을 통해
토양 내 병원균의 밀도 검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인삼 재배 최적예정지 선정, 인삼 뿌리썩음병 조기 진단과 발생예찰, 농가소득 증대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농진청은 지역 인삼 연구기관과 각 도 농업기술원에서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기술이전이 완료되면 농가에서는 가까운 농업기술원이나 시군농업기술센터로 문의하면 인삼 뿌리썩음병원균의 밀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인삼은 뿌리썩음병에 의한 연작장해로 신규 재배면적이 줄고 품질이 떨어지는 등 공급 불균형과 생산기반 위축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또 인삼을 재배하는 토양에 뿌리썩음병원균 발생이 심각하면 재배 중인 인삼을 모두 폐기해야 하는데, 이때 피해액은 1㏊당
9420만원으로 추정된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