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원유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정부가 북한·아프리카 분유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낙농업계 전반에서 잇따르고 있다. 특히 지난해 시도하다가 중단됐던 대북 분유 지원은 남북관계가 지난달 고위 당국자 접촉 이후 대화 국면으로 바뀐 만큼 즉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낙농육우협회는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공문을 보내 원유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북한·아프리카 분유 지원에 나서 줄 것을 건의했다(본지 9월7일자 9면 보도). 낙농육우협회의 이번 공문 발송은 6월2일에 이은 2차 건의로, 소비처를 못 찾을 정도로 분유 재고가 넘치는 상황에서 국내 낙농산업 안정을 위해서는 정부 개입을 통한 시장격리 조치가 시급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에 맞춰 인도적 차원의 아프리카 분유 지원을 추진 중이던 경기도도 지원 대상에 북한까지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 중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가 마련되지는 않았으나, 경기도 자체 예산에 도 내 유업체들의 협조를 얻어 늦어도 내년에는 분유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연초까지 대북 분유 지원을 진행해 오다 5월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사업이 답보상태에 빠졌던 범축산업계 사회공헌기구 나눔축산운동본부도 대북사업 관련 기관을 통해 물꼬가 터질 시기를 타진하는 등 다시 실무적인 절차에 들어갔다. 나눔축산운동본부가 대북 지원용으로 준비하고 있는 분유는 약 100t이다.
인도적 분유 지원에 대한 국제적 분위기도 좋다. 스위스 외무부 산하 스위스개발협력처는 북한 어린이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7~8월 2차에 걸쳐 1050t의 분유를 북한으로 실어보내 국제사회의 공감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한편 과거 우리의 북한 분유(우유 포함) 지원 사례를 보면 2005년 낙농육우협회가 ‘통일우유 보내기 운동’ 캠페인을 전개해 약 2억5000만원의 성금을 모금, 분유 18t·멸균유 110여t을 실어보낸 바 있다. 정부가 국가 예산으로 북한에 우유(분유)를 지원한 사례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