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과학원에 따르면 2007년부터 지금까지 연간 100마리 이상씩 총 1067마리의<축진듀록>을 보급했으며, 매년 수입하는 <두록>수퇘지와 비교하면 수입 대체율이 32%에 이른다. 올해는 12개 업체가 247마리를 신청했으나 국내 구제역 발생으로 보급 가능 마릿수를 낮춰 현재 8개소에 76마리만 보급했다.
<축진듀록>은 농장 적응에 문제를 보이는 수입 씨돼지와 달리 이미 국내 기후와 환경에 적응을 했기 때문에 양돈농가의 선호도가 높다. 고기 생산 능력, 등지방 두께, 90㎏ 도달 일령, 사료요구율 등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축진듀록>은 1998년 캐나다·미국 등지에서 우수한 능력의 씨돼지를 들여와 과학적인 통계기법과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해 계통 조성한 씨수퇘지다. 수퇘지 1마리를 돼지인공수정센터에 보급하면 연간 어미돼지 500마리에게 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
박준철 축과원 양돈과장은 “지난해 발효된 나고야의정서로 수입 씨돼지뿐 아니라 수입 후 생산하는 새끼돼지에 대한 사용료도 문제가 예상된다”며 “<축진듀록>을 활용해 소비자 맞춤형 부계 계통을 개발·보급해 한국 대표 씨돼지로 키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