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 소속 농업인들이 밥쌀용 쌀 수입저지와 농산물 가격보장을 요구하며 농민대회를 열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이하 전농) 광주전남연맹 소속 농업인들은 8월26일 해남을 시작으로 이달 10일까지 12개 시·군에서 농민대회를 열고 밥쌀용 쌀 수입 중단과 농산물 가격보장을 요구했다. 전농 경북지역 9개 시·군 농민회와 부산경남연맹·강원도연맹도 10일 기자회견과 차량선전전을 펼치며 밥쌀용 쌀 수입 중단 및 저가 수입쌀 시장 격리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밥쌀용 쌀 수입과 무분별한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통해 우리 농산물이 설 자리를 잃게 하고 농업붕괴를 앞당기고 있다”면서 “쌀값 폭락의 주범인 밥쌀용 쌀 수입 중단과 농산물 최저가격을 보장해 농업인들이 안심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농 제주도연맹(의장 김만호)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회장 김정임)은 10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각국과의 FTA 비준동의를 위한 여야정 협의체 구성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한·중,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FTA 국회비준 중단 ▲제주 감귤과 월동채소 가격 보장 ▲제주농산물 북한 보내기 운동 보장 등 5개항을 요구했다.
전남 시·군의회 의장단은 11일 목포에서 열린 ‘제205차 전남 시·군의회 의장회(회장 서경식 광양시의회 의장) 회의’에서 ‘밥쌀용 쌀 수입 반대’ 성명서를 채택하고 중앙부처와 국회 등 관계기관에 건의하기로 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정부는 5월 무산된 밥쌀용 쌀 수입을 재개해 중국산 멥쌀 1만t과 미국산 멥쌀 2만t을 들여오기로 했다”면서 “그동안 정부는 관세화 유예 대가로 의무수입물량(41만t)의 30% 이상을 밥쌀용으로 수입해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쌀 관세화로 밥쌀용 쌀을 수입할 이유가 없어졌다”고 주장했다.